국정홍보처 폐지냐 축소냐 ... 한나라ㆍ민주 "없애자"…열린우리 "기능 조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치권이 국정홍보처를 폐지하거나 기능을 축소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한나라당과 민주당,국민중심당이 아예 국정홍보처를 없애자는 강경한 입장이고 열린우리당과 중도통합신당 민주노동당은 폐지 자체에는 반대하면서도 기능을 조정·축소하자는 쪽으로 당론을 모은 상태다.
국회는 이달 말 문화관광위원회 소집을 시작으로 다음 달 4일부터 열리는 임시국회에서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한나라당 김형오 원내대표는 25일 원내대책회의에서 "국정홍보처가 정권홍보처의 차원을 넘어 권력의 시녀,권력통제의 사령부로 군림하고 있다"면서 "6월 한달을 '언론수호의 달'로 정하고 임시국회에서 폐지되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나라당은 이를 위해 오는 28일 6당 원내 대표회담을 추진하기로 했다.
민주당은 "정권홍보에 열중하고 언론통제나 일삼는 홍보처라면 존속시킬 필요가 없다"(유종필 대변인)고 목소리를 높였고,국민중심당도 "노무현 정부의 언론 테러가 정점으로 치닫고 있고,그 중심에 국정홍보처가 있다. 폐지돼야 한다"(류근찬 대변인)고 가세했다.
반면 열린우리당은 "국정홍보처 폐지 논의에 응할 수 있다"(장영달 원내대표)는 입장에서 한발 후퇴했다.
"폐지에는 반대하지만 일부 기능 조정은 가능하다"는 선에서 의견을 모았다.
중도통합신당 양형일 대변인도 "국정홍보처의 설치 취지에 맞는 기능과 조직 운영체계 설정을 위한 논의를 받아들이겠다"며 기능축소쪽에 무게를 실었다.
이에 청와대 천호선 대변인은 "(국정 홍보처의) 필요성에 대해선 이론의 여지가 없다"며 기존입장을 재확인했다.
한편 이날 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대구에서 기자들과 만나 "(기자실 통폐합은) 시대에 역행하는 것이며 언론의 자율성을 파괴하는 행위로 옳지 않다"며 "(관련 조치를) 취소하고 원상 회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
한나라당과 민주당,국민중심당이 아예 국정홍보처를 없애자는 강경한 입장이고 열린우리당과 중도통합신당 민주노동당은 폐지 자체에는 반대하면서도 기능을 조정·축소하자는 쪽으로 당론을 모은 상태다.
국회는 이달 말 문화관광위원회 소집을 시작으로 다음 달 4일부터 열리는 임시국회에서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한나라당 김형오 원내대표는 25일 원내대책회의에서 "국정홍보처가 정권홍보처의 차원을 넘어 권력의 시녀,권력통제의 사령부로 군림하고 있다"면서 "6월 한달을 '언론수호의 달'로 정하고 임시국회에서 폐지되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나라당은 이를 위해 오는 28일 6당 원내 대표회담을 추진하기로 했다.
민주당은 "정권홍보에 열중하고 언론통제나 일삼는 홍보처라면 존속시킬 필요가 없다"(유종필 대변인)고 목소리를 높였고,국민중심당도 "노무현 정부의 언론 테러가 정점으로 치닫고 있고,그 중심에 국정홍보처가 있다. 폐지돼야 한다"(류근찬 대변인)고 가세했다.
반면 열린우리당은 "국정홍보처 폐지 논의에 응할 수 있다"(장영달 원내대표)는 입장에서 한발 후퇴했다.
"폐지에는 반대하지만 일부 기능 조정은 가능하다"는 선에서 의견을 모았다.
중도통합신당 양형일 대변인도 "국정홍보처의 설치 취지에 맞는 기능과 조직 운영체계 설정을 위한 논의를 받아들이겠다"며 기능축소쪽에 무게를 실었다.
이에 청와대 천호선 대변인은 "(국정 홍보처의) 필요성에 대해선 이론의 여지가 없다"며 기존입장을 재확인했다.
한편 이날 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대구에서 기자들과 만나 "(기자실 통폐합은) 시대에 역행하는 것이며 언론의 자율성을 파괴하는 행위로 옳지 않다"며 "(관련 조치를) 취소하고 원상 회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