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홍보처의 공룡화가 도마에 올랐다.

국정홍보처가 참여정부 들어 조직이 비대해지고 권한이 강화된 것은 물론 기자실 통·폐합을 통해 기자들의 취재활동까지 밀착 감시하게 된 데 따른 것이다.

우선 몸집 불리기.국정홍보처 조직은 1999년 '국민의 정부' 시절 신설될 당시 3국에 불과했으나 2005년 3개 지원단,2006년에는 4개 지원단으로 확대됐다.

현재 직원은 210명에 달하며 산하에 통합 포털사이트인 국정브리핑,한국정책방송(KTV),격주간지인 코리아플러스 등 3개 홍보매체를 두고 있다.

이들 매체의 올해 예산은 220여억원에 이른다.

권한도 확고해졌다.

정부는 이달 1일 국무회의에서 훈령으로 규정돼 있던 국정홍보처의 업무와 권한(국정홍보업무운영규정)을 대통령령으로 격상시켰다.

차관급인 처장에게 정책홍보 조정권한을 부여하면서 각 부처의 정책광고에 대한 사전 협의권도 줬다.

노골적인 '광고 통제'라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국정홍보처는 여기에다 언론사 취재활동을 보다 근접해서 모니터링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번 기자실 통·폐합에 따라 현재의 서울 세종로 중앙청사 본관에서 합동브리핑센터와 기사송고실을 마련할 중앙청사 별관(외교부빌딩)으로 이주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3층에 자리한 외교부 공보관실을 5층으로 밀어내고 입주해 1,2층의 합동브리핑센터와 송고실을 관할한다는 구상이다.

또 각 언론사에 할당할(최대 4개) 부스를 임대료를 물게 하는 분양형태로 제공할지를 놓고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홍보처는 다음 주 초께 기자실 통·폐합을 위한 공사비 등의 예산을 기획예산처에 요청할 예정이다.

기획예산처 내에서는 이를 두고 벌써부터 "왜 쓸데없는 짓을 해서 예산을 낭비하는지 모르겠다"는 볼멘 소리가 나오고 있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