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이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일반 국민 1000여명을 대상으로 '경제현황 및 경제정책 방향에 대한 의식조사'를 실시한 결과,4명 가운데 3명이 우리 경제가 향후 3년 이내에 외환위기에 버금갈 만큼 심각하거나 그 수준은 아니더라도 상당한 어려움에 처할 것이라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4분기를 저점으로 경기회복을 점치고 있는 연구기관들의 전망이나 지표경기 호전과는 사뭇 다른 경제인식이라는 점에서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한마디로 아직 우리 경제가 얼마나 불안한 상태인지를 여실히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77.1%가 우리나라는 경쟁국보다 훨씬 기업하기 어려운 환경으로,이는 '경직된 노사관계와 고임금'(31.9%),'높은 땅값과 물류비 등 고비용 부담'(28.1%),'과다한 정부규제'(22.6%) 때문이라고 했다.

여기에 늘어난 가계부채,미래 불확실성,잠재성장률 하락세가 불안심리를 가중(加重)시키고 있음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사실 우리 경제의 이 같은 고질적 문제점은 어제 오늘 지적된 것도 아니다. 또 이의 극복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데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돼 있음이 이번 조사에서 확인됐다.

국민들은 최우선 국가 과제이자 바람직한 경제정책 방향으로 '경제성장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소득증대'를 첫손 꼽았고,먼저 해결해야할 과제로 '기업투자 촉진과 일자리 창출''부동산 가격안정''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협력'으로 지적한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는 일이다.

그렇다면 정부가 할 일도 제시된 셈이다.

정부는 지금의 경제상황에 대한 섣부른 낙관론(樂觀論)에 치우쳐 정책판단의 중대한 오류를 자초할 일이 아니라 모든 정책수단을 기업투자 촉진과 경제활력 회복에 모아야 한다는 얘기다.

경기가 겨우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지만,당장 국제유가의 급등과 지속적인 원화 강세,중국의 긴축,가계부채발 금융위기 가능성 등 어느 때고 우리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가져올 수 있는 안팎의 불안요인들 또한 산적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지금은 우리 경제의 저성장 추세 고착화를 벗어나기 위한 미래 성장동력 창출(創出)과 잠재성장률을 높일 수 있는 획기적인 경쟁력 강화대책이 무엇보다 시급한 때다.

기업규제의 혁신,안정적 노사관계 정착,고비용 구조 개선에 그 주안점이 두어져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