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경제대국에 걸맞게 경제교육을 정부가 주요 국가과제 중 하나로 삼고 있다.

2002년 재무부에 금융교육국을 신설했으며 2004년 경제교육법(Excellence in Economic Education)을 제정해 민간 경제교육 기구들을 지원하고 있다.

민간 비영리 경제교육단체의 전미경제교육협의회(NCEE:National Council on Economic Education)에 연간 530만달러를 대주고 있다.

NCEE는 정부 지원금과 400만달러에 이르는 기부금 등을 바탕으로 연간 12만명의 경제교사를 기업 등 경제현장에서 교육받게 하고 있다.

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체험 위주의 다양한 경제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미국 50개주 가운데 인구가 많은 뉴욕주 캘리포니아주 텍사스주 등 15개주에선 경제를 유치원에서부터 12학년까지 이수해야 할 필수과목으로 지정해놓고 있다.

KDI는 "미국 고교생 중 경제과목 수강비율이 50%를 넘어서는 등 경제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가 매우 높다"며 "이는 1990년대부터 미국 경제의 재도약에 밑거름이 됐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198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미국에서 경제교육이 관심을 받지 못했다.

미국 고교생의 경제과목 수강비율은 1982년 24.0%에 불과했다.

미국은 이러한 현상의 심각성을 깨닫고 청소년 경제교육 활성화를 위한 대대적인 작업에 들어갔다.

1949년 결성된 민간단체 NCEE가 중심이 돼 경제교육 프로그램 개편에 나섰다.

KDI는 "한국은 20년 전 미국과 비슷한 상황"이라며 "경제교육 특별법이 제정돼 경제교육을 체계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에 자극받아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및 일본도 경제교육을 대폭 강화하는 추세다.

OECD는 2005년부터 경제교육 가이드라인 제정을 추진 중이며 조만간 결과를 내놓을 예정이다.

일본 역시 2005년 7월 '경제교육 추진에 관한 계획'을 발표하고 경제교육 활성화를 진행하고 있다.

한편 한국은 1994년 재경부 내 경제교육기획국을 폐지하고 과 단위로 축소했으며,1993년 12억원이었던 경제교육 예산을 지난해 4억5000만원으로 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