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들이 새로운 수익모델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건전성과 경영투명성 등을 따져 저축은행의 업무범위를 넓혀줘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건호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저축은행중앙회로부터 의뢰받은 용역보고서를 통해 "그동안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 등 최근의 성장전략은 저축은행이 서민금융회사로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는 데 장애가 됐다"며 "저축은행이 스스로의 특성에 따라 최적의 틈새시장을 개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서민의 재산형성 지원 등 서민금융에 전념하는 소형 저축은행 △서민금융과 함께 중소기업 여신을 적극 확대해 지방은행과 유사한 사업구조를 추구하는 저축은행 △서민금융 비중을 낮추고 여신 이외의 틈새시장에서 새로운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종합금융사와 유사한 저축은행으로 분류될 것으로 전망했다.

저축은행들은 각각의 규모와 특성에 맞는 형태의 성장전략을 추구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중소규모 저축은행의 경우 현재의 고객기반을 중심으로 지역밀착 경영을 더욱 강화해야 하며 중대형 저축은행은 서민금융과 관련해 선진 리스크관리 기법을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중소기업 대상의 투자은행업무를 중심으로 종합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성장목표로 삼아야 할 것을 권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29일 은행회관에서 '저축은행 중장기 발전방안'이란 주제로 심포지엄을 같고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황경남 기자 knhw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