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가 출범한 2003년부터 공시지가는 줄곧 수직 상승하는 추세다.

공시지가 상승률은 2002년 3.6%에 불과했으나,2003년 14.1%로 급등하기 시작해 2004년부터 2006년 사이에는 18%대로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다.

올해는 11.6%로 상승세가 주춤해졌지만 올해까지 4년 동안의 누적 상승률은 무려 86.01%나 된다.

참여정부 들어 땅값이 급등한 이유는 행정복합도시,기업·혁신도시 등 각종 개발사업과 수도권 신도시 건설이 동시다발적으로 추진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미 10조원이 훨씬 넘는 토지보상비가 시중에 풀린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개발 호재에 편승한 발빠른 투기꾼과 일반인까지 대거 투자에 나서면서 땅값을 부추기는 양상이다.

땅값 급등의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토지보상비가 올라갈 수밖에 없어 각종 개발사업의 차질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박용석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박사는 "땅값 급등은 원가를 높여 정부 개발사업은 물론 업계의 경쟁력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기 마련"이라며 "이미 신도시 등 택지개발 과정의 고비용과 공장 신축 비용 증가 등 산업 전반에 미치는 부작용이 너무 큰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