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지난 29일 열린 국무회의석상에서 마무리 발언을 통해 "언론이 터무니없는 특권(特權)을 주장하고 있다"며 "정부도 원리원칙대로 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기자실 통폐합 조치에 대한 언론의 반발과 정치권·사회 각계의 비판을 의식한 발언이다.

나아가 '브리핑룸을 제외한 기사송고실도 아예 제공하지 않겠다'란 뜻으로 국정홍보처에 그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는 것이다.

참으로 걱정되는 일이다.

우선은 노 대통령의 언론에 대한 인식이 이 정도인가를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민주국가에서 언론의 사명과 역할을 더 이상 언급하고 싶지는 않다.

또 국민의 알 권리라는 거창한 논리를 내세워 비판할 생각도 없다.

너무도 당연한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노 대통령이 말한 '원리원칙'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기자실을 언론의 '터무니없는 특권'으로 이해하고 지금까지 정부가 시혜를 베풀었다고 여기고 있는 모양이다.

정부가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집행하려면 국민들에게 올바르게 전달하고,또 이해와 설득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기자실은 국민들에게 정부정책을 설득시키는 신경망과 다를 바 없다.

이를 없앤다면서 '개혁'과 '선진화'로 호도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결국 대통령이 말하는 '원리원칙'이라는 것이 정부가 바라는대로 기사화하지 않거나 성가시게 구는 기자를 내쫓고 내 맘대로 하겠다는 편의주의가 아닌지 묻고 싶다.

때문에 노 대통령이 우리 언론에 대해 편협한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또 국정운영에 있어서 기자실의 순기능은 없는 것인가에 대해 반드시 짚어보지 않으면 안된다.

사실 기자실 폐쇄에 대한 비판은 단순히 공간확보의 문제에 대한 것만이 아니다. 대면취재통제 같은 언론의 기본권 제약이 그 핵심이다. 국민들의 눈과 귀를 막겠다는 발상에 대한 탄핵인 셈이다. 이를 언론이 특권을 주장한다거나 비양심적 태도로 몰아붙이는 것은 그야말로 적반하장이다.

노 대통령은 기자실 문제를 감정적으로 대처할 일이 결코 아니다.

정부와 언론 간의 문제가 아니고,국민 전체의 중대한 이해가 걸린,국민의 기본적인 권리에 관한 사안이기 때문이다.

얼마 남지않은 대통령의 임기를 거론하는 것도 그런 차원이다.

좀 더 냉철하고 합리적(合理的)으로 생각해주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