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급 신도시 후보지와 혁신도시 기업도시도 공시지가가 크게 올랐다.

특히 혁신도시로 개발될 예정인 충북 진천군은 20.3% 올라 미군기지 이전등의 호재로 서울에서 공시지가가 가장 많이 상승한 용산구(20.5%)와 비슷한 상승률을 보였다.

지방이 전체적으로 5~6% 오르는 데 그친 점을 감안하면 이례적인 급등세다.

혁신·기업도시의 이 같은 땅값 상승은 토지 보상비를 끌어올리고,또다시 주변 땅값을 자극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후유증을 남길 전망이다.


◆혁신도시·기업도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추진 중인 혁신도시 10곳 가운데 토지공사가 개발하는 충북 진천·음성 혁신도시 주변 지역의 땅값이 가장 많이 올랐다.

진천군은 20.3%,음성군은 16.2% 급등했다.

부산은 전체적으로 5.1% 오르는 데 그쳤지만,혁신도시 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강서구는 16.4% 뛰었다.

울산(중구 16.3%) 대구(동구 15.5%) 원주(12.3%) 진주(11.1%) 등도 '혁신도시'를 호재로 땅값이 크게 뛰었다.

기업도시의 경우 혁신도시만큼 사업 속도가 나지 않아 상대적으로 땅값 상승률이 낮았지만,전국 평균치보다는 높았다.

전남 무안군 기업도시 지역의 경우 11.7%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중심 복합도시가 들어서는 충남 연기·공주지역 땅값도 10% 안팎 뛰었다.

◆분당급 신도시 후보지도 '들썩'

다음 달 발표될 '분당급 신도시'의 후보지로 거론된 수도권 땅값도 급등세를 보였다.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과천(24.2%)을 비롯 하남(18.6%) 화성(16%) 용인(15.3%) 광주(13.9%) 등은 모두 후보지로 언급되는 곳으로 수도권 땅값 상승을 주도했다.

하남시와 과천시는 개발제한구역 해제가,화성시는 교통망 확충 등이 추가 호재로 작용했다는 게 경기도 측 설명이다.

판교신도시가 개발되고 있는 데다 도심 재개발이 한창인 성남시 역시 16.5%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보상비 부담 크게 늘어날 듯

기업·혁신도시와 신도시 후보지 등의 땅값이 뛰면서 보상비 부담도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 보유세 부담이 커진 토지 소유주들이 추가 보상을 요구하는 민원을 적극 제기하면서 개발사업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도 있다.

실제 혁신도시와 기업도시 대부분은 다음 달부터 본격적으로 보상이 시작된다.

지방 10개 혁신도시는 내달 말부터,6개 기업도시는 7월 중 토지 소유주를 대상으로 보상 협의에 착수한다.

'분당급 신도시' 역시 이르면 연말께 보상에 들어간다.

토공 관계자는 "택지개발 사업의 가장 큰 난관은 바로 보상 문제"라며 "요즘은 주민들이 보상을 더 받기 위해 사업 추진을 실력 저지하는 사례도 많아 갈수록 원가 부담이 커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보상비가 주변 지역 땅값을 다시 자극할 가능성도 높다.

건교부는 혁신도시 10개 지역에서만 최소 4조3000여억원의 보상비가 풀릴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를 막기 위해 현금 대신 토지로 보상하는 '대토 보상제'가 도입됐지만,실효성이 있을지는 미지수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