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은 장관급회담 사흘째인 31일 밤 늦게까지 실무회의를 열고 공동보도문 도출을 시도했으나 쌀차관 제공문제등 현안별로 이견이 맞서 진통을 겪었다.

공동보도문은 1일 10시 종결회의를 끝내고 발표될 예정이나 남북간 이견이 조율되지 않을 경우 지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남북은 이날 예상보다 늦은 오후 2시30분께 수석대표 접촉을 갖고 전날 전체회의에서 제시한 의제를 논의했다.

앞서 북측 대표단은 오후 2시로 예정됐던 서울 몽촌토성 참관일정을 취소했다.

이와 관련,남측이 당초 약속했던 쌀 차관(40만t) 제공을 이행하지 않은 데 대한 북측의 시위가 아니냐는 관측이 나돌았다.

남측은 북측의 2·13 합의 이행이 지연됨에 따라 당초 이달 말로 예정했던 대북 쌀 차관 제공을 연기하기로 했다.

이재정 통일부 장관은 지난 29일 "우리가 안 준다,못 준다는 게 아니라 단지 지연되고 있는 문제"라고 밝힌 바 있다.

남측은 지난 30일 기조발언에서 △2·13 합의의 조속한 이행과 군사신뢰 구축을 통한 한반도평화 정착△경의선·동해선 철도의 단계적 개통△개성공단 및 남북경협 활성화△국군포로·납북자 문제의 실질적 해결△국방장관회담 개최 등을 촉구했다.

특히 한반도평화 정착을 위한 남북 국책연구기관 전문가공동회의도 갖자고 제의했다.

반면 북측은 한·미 합동군사훈련,국가보안법 등 서로를 자극하고 위태롭게 하는 걸림돌을 책임있게 조치할 것을 제의했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