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대학교육의 수월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력 향상방안'을 어제 발표했다.

내년부터 유명 교수의 강의내용을 다른 대학과 일반인에게 인터넷으로 공개함으로써 강의의 질을 높이고, 대학의 자산운용 규제도 대폭 완화해 사학적립금의 제2금융권 투자,적극적인 수익사업을 통한 재정확충의 길을 터주는 것 등이 골자다.

우리 대학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어느 때보다 시급한 과제들이었고 보면 만시지탄(晩時之歎)의 조치가 아닐 수 없다.

우리 대학교육의 질이 떨어지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인재를 길러내지 못하는 문제점은 어제 오늘 지적된 게 아니다. 대학교육이 수요자 중심으로 이뤄지지 못하는데다,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재원확보에 너무 많은 제약이 가해지고 있는 탓이다.

이에 따른 경제·사회적 낭비도 심각하다. 기업의 대졸 신입사원 재교육에 1인당 평균 1억여원의 경비와 20개월 이상의 기간이 소요된다는 최근의 한국경총 조사결과만 보아도 알 수 있는 일이다.

따라서 이번 대책은 우리 대학교육을 한단계 끌어올리는 데 상당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우수 강의내용의 공개가 교수 사회의 전반적인 강의수준을 높이고, 대학의 적극적인 수익사업은 산학협력 확대와 이를 통한 재정확충이 교육환경 개선 투자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앞으로 졸업생들에 의한 출신 대학의 만족도와 기업의 대졸 신입사원 만족도를 평가키로 한 것은 대학 간 수월성 교육 경쟁을 촉진하는 충분한 자극제가 될 만하다.

하지만 이런 방안만으로 대학교육의 획기적인 수준향상을 기대하기에는 아직 크게 미흡한 것도 사실이다. 무엇보다 수월성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려면 대학 시스템이 입학관리 위주에서 졸업관리 중심으로 개선되고,석·박사 과정의 수준 제고,학부에서부터 산업계 수요를 충족시키는 교육이 중요한 전제조건들이다.

결국 대학의 교육 자율성을 확대하고,이를 막는 장애물을 제거하는 데 수월성 교육 정책의 주안점이 두어져야 한다는 얘기다.

자율성은 최대한 보장하고 대학 간 수월성 및 특성화 경쟁을 적극 유도할 수 있는 종합적이고 수준높은 평가시스템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물론 대학은 스스로 강력한 구조개혁과 특성화,수요자 중심의 교육체계 혁신에 나서지 않으면 경쟁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 또한 명심(銘心)하지 않으면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