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도 유엔 대북제재 동참 ‥ 러ㆍ북 신경전 일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러시아가 고가 귀금속 등 '사치품'의 대북 거래를 금지하는 등 유엔의 대북 제재에 본격 동참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지난해 10월14일 만장일치로 채택하고 러시아도 찬성했던 대북 제재 결의를 이행하는 차원이지만 구체적인 계획안이 나옴에 따라 러·북 간 신경전이 예상된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유엔의 대북 제재 결의 1718호의 이행을 위한 대통령령에 서명했다고 러시아와 미국 언론들이 30일 일제히 보도했다.
이번 대통령령에 따라 러시아는 5만루블(약 200만원) 이상의 귀금속,5000루블 이상의 시계·향수·모피·주류,300만루블 이상의 자동차를 북한과 거래하지 않기로 했다.
아울러 무기 및 무기로 전용할 수 있는 이중용도 품목도 북한과 거래하지 않기로 하는 한편 북한의 무기개발 기술자를 입국시키지 않기로 했다.
레오니드 슬루츠키 러시아 국가두마(하원) 국제문제위원회 부위원장은 이타르타스 통신과 인터뷰에서 "북한은 국제사회에서 점점 고립되면서 독자적 핵개발을 계속하고 있다"면서 "러시아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에 동의하는 것은 논리적 귀결"이라고 말했다.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는 북한이 핵실험을 한 후 미국과 일본이 유엔 내에서 대북 제재를 촉구하자 처음엔 반대하다 무력 사용 가능성을 없애는 등 제재 수위를 낮춘 결의안이 마련되자 입장을 바꿔 찬성했다.
유엔의 결의안 채택 후 지금까지 러시아를 포함한 68개국 및 유럽연합(EU)이 제재 이행 계획을 천명한 보고서를 유엔에 제출했다.
이 중 사치품 금수에 대한 세칙까지 마련한 나라는 미,일,EU 27개 회원국,호주,싱가포르,러시아 등 30개국을 넘는다.
정지영 기자 cool@hankyung.com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지난해 10월14일 만장일치로 채택하고 러시아도 찬성했던 대북 제재 결의를 이행하는 차원이지만 구체적인 계획안이 나옴에 따라 러·북 간 신경전이 예상된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유엔의 대북 제재 결의 1718호의 이행을 위한 대통령령에 서명했다고 러시아와 미국 언론들이 30일 일제히 보도했다.
이번 대통령령에 따라 러시아는 5만루블(약 200만원) 이상의 귀금속,5000루블 이상의 시계·향수·모피·주류,300만루블 이상의 자동차를 북한과 거래하지 않기로 했다.
아울러 무기 및 무기로 전용할 수 있는 이중용도 품목도 북한과 거래하지 않기로 하는 한편 북한의 무기개발 기술자를 입국시키지 않기로 했다.
레오니드 슬루츠키 러시아 국가두마(하원) 국제문제위원회 부위원장은 이타르타스 통신과 인터뷰에서 "북한은 국제사회에서 점점 고립되면서 독자적 핵개발을 계속하고 있다"면서 "러시아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에 동의하는 것은 논리적 귀결"이라고 말했다.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는 북한이 핵실험을 한 후 미국과 일본이 유엔 내에서 대북 제재를 촉구하자 처음엔 반대하다 무력 사용 가능성을 없애는 등 제재 수위를 낮춘 결의안이 마련되자 입장을 바꿔 찬성했다.
유엔의 결의안 채택 후 지금까지 러시아를 포함한 68개국 및 유럽연합(EU)이 제재 이행 계획을 천명한 보고서를 유엔에 제출했다.
이 중 사치품 금수에 대한 세칙까지 마련한 나라는 미,일,EU 27개 회원국,호주,싱가포르,러시아 등 30개국을 넘는다.
정지영 기자 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