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차 남북장관급회담이 쌀 차관부터 달라는 북측과 2·13합의 이행을 촉구한 남측 입장이 맞서 아무런 성과 없이 끝났다.

남북은 회담 마지막날인 1일 차기회담 일정도 잡지 못한 채 종결회의를 갖고 공동보도문을 발표했다.

공동보도문은 "한반도의 평화와 남북 사이의 화해와 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문제들을 더 연구해 나가기로 했다"는 내용만 담았을 뿐 실질적인 합의내용은 없었다.

통일부는 이와 관련,"북측이 쌀 차관 합의이행이 지연돼서는 안 된다면서 이 문제가 우선적으로 해결돼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남측은 이에) 북핵 문제와 관련해 변화가 없는 한 쌀 차관제공은 국민적 공감대를 얻을 수 없다는 분명한 입장을 전달했다"고 강조했다.

회담이 난항을 겪으면서 남측은 기조발언을 통해 제의했던 △군사적 긴장완화를 통한 한반도평화정착,국책 연구기관 공동회의 개최 △경의선·동해선 열차 단계적 개통 △국군포로·납북자 문제의 실질적 해결 △국방장관 회담 개최 등의 의제를 제대로 꺼내보지도 못했다.

회담장 주변에서는 통일부가 '자승자박'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분분했다.

20차 장관급회담과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경추위)에서 북측의 2·13 합의 이행을 지나치게 낙관,쌀 차관 제공시점을 5월 말로 합의해 준 결과라는 설명이다.

통일부는 앞서 2·13 합의 이행시한인 4월13일 이전에 중유 5만t 북송을 위한 용선계약을 미리 체결하는 바람에 국민혈세 36억원을 날리기도 했다.

남북장관급회담의 속개여부는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BDA) 내 북한자금 2500만달러가 조속히 북측에 이체되느냐에 달렸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그래야 북측은 2·13 합의 초기조치(영변 핵시설 가동중지·봉인)를 이행할 것이고,남측도 쌀 차관(40만t) 제공을 위한 명분을 얻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