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中企대출 늘었다지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 들어 은행권의 중소기업 대출이 크게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중소 제조업체들의 절반가량은 자금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환율 하락 등으로 수출 중소기업의 자금 사정이 내수 기업보다 크게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최근 265개 중소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해 4일 발표한 '중소기업 자금 사정 조사'에 따르면 조사 기업의 45.6%가 '자금 사정이 곤란'하다고 응답했다.
자금 사정이 곤란하게 된 원인으로는 매출 감소(65.3%·복수 응답)가 가장 많았고 판매대금 회수 지연(56.2%),납품단가 인하(45.5%)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매출액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50%를 넘는 수출 중소기업(34개사)의 '곤란' 응답 비율이 내수 기업(43.7%)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중소 제조업체들의 15.1%는 '원활하다',39.2%는 '보통'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지난 1월 조사에 비해 '곤란'과 '원활'의 비율이 각각 2.0%포인트와 7.2%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중소기업중앙회 관계자는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확대로 전반적인 자금 사정은 개선됐으나 우량기업과 비우량기업 간 양극화는 심화되고 있다"며 "수출기업의 경우 환율 하락 등의 여파로 채산성이 악화돼 자금 압박에 시달리는 업체들이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송태형 기자 toughlb@hankyung.com
특히 환율 하락 등으로 수출 중소기업의 자금 사정이 내수 기업보다 크게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최근 265개 중소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해 4일 발표한 '중소기업 자금 사정 조사'에 따르면 조사 기업의 45.6%가 '자금 사정이 곤란'하다고 응답했다.
자금 사정이 곤란하게 된 원인으로는 매출 감소(65.3%·복수 응답)가 가장 많았고 판매대금 회수 지연(56.2%),납품단가 인하(45.5%)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매출액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50%를 넘는 수출 중소기업(34개사)의 '곤란' 응답 비율이 내수 기업(43.7%)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중소 제조업체들의 15.1%는 '원활하다',39.2%는 '보통'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지난 1월 조사에 비해 '곤란'과 '원활'의 비율이 각각 2.0%포인트와 7.2%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중소기업중앙회 관계자는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확대로 전반적인 자금 사정은 개선됐으나 우량기업과 비우량기업 간 양극화는 심화되고 있다"며 "수출기업의 경우 환율 하락 등의 여파로 채산성이 악화돼 자금 압박에 시달리는 업체들이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송태형 기자 toughl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