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5일자) 온실가스 위기의식 갖고 대처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변화로 2100년께 한반도의 평균 기온이 약 3도 상승하고,경제적 피해만 연간 평균 58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의 분석 결과는 충격적이다.
최근 유엔의 정부간기후변화위원회(IPCC) 보고서를 비롯해 온실가스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경고는 숱하게 쏟아졌지만 예상되는 피해가 상상을 초월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더구나 이 수치도 농·수산업,임업,생태계 파괴 등의 피해만 주로 따진 것으로, 반도체나 자동차 등의 핵심산업분야에 대한 타격을 포함하면 그 규모가 얼마나 더 커질지 짐작할 수조차 없는 상황이다.
당장 2030년부터 피해가 본격화되기 시작해 이후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이고 보면,이미 발등에 떨어진 불이나 다름없다.
문제는 이 같은 피해가 한반도 주변 해류변화,슈퍼태풍 발생,생물 멸종 등 자연시스템 변화에 따른 재앙적 수준으로 진행돼 복구가 불가능할 것이라는 점이다.
하루빨리 예방조치에 만전을 기하지 않으면 되돌릴 수 없는 지경에 처한다는 얘기다.
온실가스를 둘러싼 국제적인 환경변화도 심상치 않은 방향으로 돌아가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교토의정서의 1차 온실가스 의무감축 대상에서 제외돼 어느 정도 여유가 있었지만,지금껏 교토의정서를 외면해온 미국 부시 대통령이 최근 입장을 바꿔 G8과 중국 인도 한국 멕시코등 15개국이 내년 말까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장기전략을 마련하자고 제안하고 나섬으로써 우리에게도 불똥이 튀게 된 것이다.
당장 온실가스 의무감축 시기를 앞당기는 게 불가피해졌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온실가스 배출량이 세계 10위고,증가율은 중국에 이어 세계 2위다.
이런 상황에서 온실가스 감축은 상당한 무리와 엄청난 경제적 부담을 수반할 수밖에 없다.
더구나 우리나라는 반도체 등 제조업 분야의 배출량이 급증해온 구조임을 감안한다면 우리 경제를 떠받치고 있는 주력산업군의 경쟁력이 심각하게 위협받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온실가스 대응책 마련을 조금도 지체할 수 없는 이유다.
우선적으로 에너지 절약 및 소비효율 제고,온실가스 저감기술 개발,신·재생 에너지의 조기 실용화,원자력발전 비중확대에 주안점을 두어야 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보다 획기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기술개발과 산업구조 개편을 서둘러야 한다.
급격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산업부문별 적응정책과 추진체계 수립도 화급을 다투는 과제다.
최근 유엔의 정부간기후변화위원회(IPCC) 보고서를 비롯해 온실가스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경고는 숱하게 쏟아졌지만 예상되는 피해가 상상을 초월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더구나 이 수치도 농·수산업,임업,생태계 파괴 등의 피해만 주로 따진 것으로, 반도체나 자동차 등의 핵심산업분야에 대한 타격을 포함하면 그 규모가 얼마나 더 커질지 짐작할 수조차 없는 상황이다.
당장 2030년부터 피해가 본격화되기 시작해 이후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이고 보면,이미 발등에 떨어진 불이나 다름없다.
문제는 이 같은 피해가 한반도 주변 해류변화,슈퍼태풍 발생,생물 멸종 등 자연시스템 변화에 따른 재앙적 수준으로 진행돼 복구가 불가능할 것이라는 점이다.
하루빨리 예방조치에 만전을 기하지 않으면 되돌릴 수 없는 지경에 처한다는 얘기다.
온실가스를 둘러싼 국제적인 환경변화도 심상치 않은 방향으로 돌아가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교토의정서의 1차 온실가스 의무감축 대상에서 제외돼 어느 정도 여유가 있었지만,지금껏 교토의정서를 외면해온 미국 부시 대통령이 최근 입장을 바꿔 G8과 중국 인도 한국 멕시코등 15개국이 내년 말까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장기전략을 마련하자고 제안하고 나섬으로써 우리에게도 불똥이 튀게 된 것이다.
당장 온실가스 의무감축 시기를 앞당기는 게 불가피해졌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온실가스 배출량이 세계 10위고,증가율은 중국에 이어 세계 2위다.
이런 상황에서 온실가스 감축은 상당한 무리와 엄청난 경제적 부담을 수반할 수밖에 없다.
더구나 우리나라는 반도체 등 제조업 분야의 배출량이 급증해온 구조임을 감안한다면 우리 경제를 떠받치고 있는 주력산업군의 경쟁력이 심각하게 위협받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온실가스 대응책 마련을 조금도 지체할 수 없는 이유다.
우선적으로 에너지 절약 및 소비효율 제고,온실가스 저감기술 개발,신·재생 에너지의 조기 실용화,원자력발전 비중확대에 주안점을 두어야 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보다 획기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기술개발과 산업구조 개편을 서둘러야 한다.
급격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산업부문별 적응정책과 추진체계 수립도 화급을 다투는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