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등세를 달려온 중국 증시가 연일 약세를 보이면서 폭락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나 중국 증시는 정부가 쓴 정책수단을 볼 때 앞으로 지난 몇 개월처럼 가파르게 상승하지도 않겠지만, 폭락장도 예상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왔다.

LG경제연구원은 7일 `중앙의 관리능력에 달린 중국 증시의 미래'라는 보고서에서 "최근 중국 증시의 폭등은 실물경제 호황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주가를 억눌렀던 전체지분의 70%에 달하는 비유통주라는 불확실성의 제거가 기폭제가 됐다"고 분석했다.

일반적으로 주가는 거시경제 성적표와 기업실적을 선행하는데 2000년대 들어 중국경제가 10%대 성장률을 구가하는 동안 주가가 참담했던 이유는 비유통주의 시장매각과 맞물려있는 중국정부의 기업개혁과 관련이 있다는 게 연구원의 진단이다.

중국은 상장돼 있는 국유기업의 지분을 국무원 국유자산 감독관리위원회나 지방정부, 국유기업이 교차 보유하고 있는데 이 지분은 전체지분의 70%에 달하면서도 대부분 주식시장에서 유통이 원천적으로 봉쇄된 `비유통주'여서 이들 주식이 시장에 매각돼야 기업개혁이 가능했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중국 증시의 거품론이 국제적으로 팽배해지자 중국 정부는 지난달 18일 금리인상, 은행 지급준비율 인상, 위안화 일일변동폭 확대 등 금융 긴축정책을 전격 발표한 데 이어, 29일에는 주식거래세를 크게 올리는 등 열기 식히기에 나서 상하이 증시는 지난 4일까지 14.6%나 하락하는 조정국면으로 들어섰다.

연구원은 중국 주식시장 상장 기업 대부분, 특히 시가총액 상위권에 포진한 은행들은 정부의 통제를 강하게 받고 있고, 신규상장이나 증자규모도 정부의 통제에 있기 때문에 주식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는 물론 주식수요를 조절하는 밸브에도 정부의 힘이 미친다고 전했다.

거시경제적으로 볼 때 최근 중국 경제는 산업부문 간 균형을 찾아가면서 2000년대 초보다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고, 개인투자자들도 자국경제의 고도성장과 기업실적 개선을 기대하며 두터운 대기수요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다른 대체수단도 여의치 않아 주가 하락기에 투자가들의 투매양상이 벌어질 가능성이 비교적 낮다고 연구원은 내다봤다.

연구원은 "거래세 인상을 통해 중국 정부는 현 주가수준에 거품이 끼어있음을 인정한 셈이고 현재 가동한 정책수단을 볼 때 중국 증시가 직전 수개월처럼 가파르게 상승할 가능성은 낮아 보이나 정부의지나 통제능력, 광대한 대기수요 등을 감안할 때 폭락장도 예상하기 어렵다"고 전망했다.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yulsi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