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의 콜금리 인상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는 8일 금융통화위원회 종료 후 기자 간담회에서 "금통위가 관심을 갖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높은 유동성 증가율의 지속 현상이다. 오랫동안 계속된다면 중장기적으로는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또 "단기적으로는 (높은 유동성 증가율이) 자산 가격 쪽에 과도한 상승을 유발하지 않는 지 유의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 같은 말은 시중 유동성의 높은 증가세가 지속되면 콜금리 목표치를 상향 조정해 유동성 환수에 나설 수 있다는 의지로 받아들여진다.

이 총재는 현재의 경기 상황에 대해서도 "경기상승 기조가 뚜렷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콜금리를 인상할 경우 실물경기의 부정적 영향에 대해서는 "실물경제는 성장률만이 아니라 물가도 있고 금융시장의 안정이라는 측면도 포함돼 있는만큼 경제 전체의 균형과 안정에 도움이 되는 쪽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물가와 관련해서도 이 총재는 "작년 하반기 이후로 국내 물가 상승률이 조금 높아지는 쪽으로 이미 진입했다"고 말했다.

결국 경기 회복세가 뚜렷한 상황에서 과도한 유동성 증가세가 진정되지 않을 경우 하반기 중 콜금리 인상을 통한 유동성 흡수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총재는 최근 2~3개월 동안 국내 증시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관심을 나타냈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