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통화 안되는 단말기 어딨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와이브로 단말기,3세대 휴대폰,노트북 간에도 영상통화 등이 가능해진다.
단말기나 네트워크 종류와 무관하게 연결돼 멀티미디어 통신을 할 수 있다.
KT는 이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구축했다고 12일 밝혔다.
통합 플랫폼은 IP멀티미디어시스템(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술을 기반으로 구축됐다.
이 시스템은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로 들어오는 멀티미디어 통신정보를 단말기와 네트워크에 맞게 고쳐서 뿌려주는 기술이다.
통합 플랫폼을 이용하면 다른 단말기끼리 얼굴을 보며 통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개인정보 관리,문자(인스턴트메시징) 송수신,멀티미디어 메시징,영상회의 등도 즐길 수 있다.
지금은 HSDPA폰은 같은 폰끼리만 영상통화가 가능하다.
KT는 일단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하고 있는 자회사 KTF와 망 연동에 나설 계획이다.
이상홍 KT 인프라연구소장은 "앞으로 와이브로,유선,무선 등 각종 네트워크 연동을 통해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멀티서비스가 실현되면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유비쿼터스 시대를 실감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고기완 기자 dadad@hankyung.com
단말기나 네트워크 종류와 무관하게 연결돼 멀티미디어 통신을 할 수 있다.
KT는 이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구축했다고 12일 밝혔다.
통합 플랫폼은 IP멀티미디어시스템(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술을 기반으로 구축됐다.
이 시스템은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로 들어오는 멀티미디어 통신정보를 단말기와 네트워크에 맞게 고쳐서 뿌려주는 기술이다.
통합 플랫폼을 이용하면 다른 단말기끼리 얼굴을 보며 통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개인정보 관리,문자(인스턴트메시징) 송수신,멀티미디어 메시징,영상회의 등도 즐길 수 있다.
지금은 HSDPA폰은 같은 폰끼리만 영상통화가 가능하다.
KT는 일단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하고 있는 자회사 KTF와 망 연동에 나설 계획이다.
이상홍 KT 인프라연구소장은 "앞으로 와이브로,유선,무선 등 각종 네트워크 연동을 통해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멀티서비스가 실현되면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유비쿼터스 시대를 실감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고기완 기자 dad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