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랑이 작가의 작품 활동을 지원하면서 전시회도 열어주는 전속작가제도.이는 미술시장의 약일까,독일까.

최근 알츠하이머병을 앓고 있는 김훈씨(84)가 연미술(대표 전후연)과 전속계약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고,지난해에 같은 문제로 우울증에 걸린 오승윤씨가 자살하는 등 화랑업계의 전속작가 제도가 도마에 올랐다.

이에 따라 전속작가 제도가 일부 화랑들의 독과점 현상을 불러오면서 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지적과 안정적인 지원을 통해 세계적인 작가로 육성할 수 있는 제도이므로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한꺼번에 나오고 있다.


◆어떻게 계약되나=국내 화랑의 상당수가 전속계약을 맺고 있긴 하지만 작가의 작품 및 전시를 영구적으로 관리ㆍ지원하는 매니지먼트는 갤러리 현대(30~40명),가나아트갤러리(10여명),아라리오(20여명),연미술(2명) 등 몇 군데 정도다.

여기에 소속된 작가는 100여명.

화랑들은 전속 작가에게 월 200만~800만원의 생활비를 지원하고 전시회를 열어준다.

대신 작가의 작품은 전적으로 이들 화랑의 컬렉션으로 수집된다.

현대와 가나는 전속 작가가 다른 화랑에서 전시회를 열 때 작품 판매 대금의 10%를 수수료로 받고 있다.

특히 화랑은 작가에게 계약과 관련된 모든 문제를 외부에 알리지 않는다는 조건을 제시하고 있어 일부에선 '노예문서'라는 비난이 일고 있다.

그만큼 작가에게 '페널티'가 많다는 이야기다.


◆갈등 사례=프랑스 파리에서 활동하다 2002년에 귀국한 김훈씨는 최근 연미술 측과 전속계약 문제로 대립하고 있다.

김씨는 2003년 8월부터 5년간 생활비 월 500만원 지원과 함께 다른 화랑에 3년간 작품판매 금지 및 5년간 전시금지를 조건으로 전속계약을 맺고 작품 98점(2억4000만원 상당)을 호당 4만8000원에 건네줬다.

하지만 연미술 측이 생활비 지원을 중단하고 투병중인 작가로부터 작품 100여점을 추가로 가져가는 등 계약위반 행위가 이어지고 있다고 김씨 측은 주장했다.

반면 연미술 측은 김씨의 생활비를 중단한 것은 사전 계약에 따른 것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전속계약과 저작권 문제를 둘러싸고 법정다툼이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고 오지호 화백(1905~1982년)의 차남인 오승윤씨가 지난해 1월 자살한 것은 연미술 측과 저작권 및 계약문제로 갈등을 빚은 뒤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았기 때문이라고 유족 측은 주장했다.


◆찬반 논란=미술계에서는 전속작가 제도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먼저 대형 화랑들이 유망한 작가를 '빨아들여' 시장가격을 쥐락펴락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시중에서 작품이 거래되는 작가가 200명도 안되는 상황에서 대형 상업화랑이 급격하게 작가를 흡수할 경우 '독식'이 심화되면서 비 전속작가들은 아예 퇴출되는 최악의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준모 전 국립현대미술 학예실장은 "작품성을 통해 작가를 잡지 않고 전속작가 카드를 남용할 경우 시장가격 시스템이 붕괴되면서 작가의 작업실이 '미술공장'으로 전락하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김윤섭 한국미술경영연구소장은 "전속작가 제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일부 화랑의 작가들은 미국 홍콩 등 해외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며 "전속작가 제도가 시장 활성화,작품 공급 확대,작가 경쟁력 기여,작품 가격 상승 등의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경갑 기자 kkk1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