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롯데마트 등 대형마트가 연내 추가 출점을 자제하기로 하는 등 '상생협력' 방안을 내놓았다.

그러나 이 같은 약속을 제재할 수 있는 법적인 방법이 없어 중소 유통업체들의 불만을 잠재우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산업자원부는 13일 8개 대형마트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김영주 장관 주재로 서울 태평로 프라자호텔에서 열린 '유통부문 상생협력 간담회'에서 대형 유통업체들이 이 같은 내용의 상생협력 방안을 제시했다고 발표했다.

8개 대형마트는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홈에버 농협유통 메가마트 GS마트 등이다.

대형마트 대표들은 이날 회의에서 "현재 진행 중이거나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올해 안에 출점을 자제하겠다"고 결의했다.

산자부는 이에 대해 "지난해 대형마트의 출점은 35개였는데 올해는 그 이하로 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대형마트는 2005년 말 300개에서 지난해 35개가 늘고 4개가 폐점돼 지난해 말 기준 331개다.

대형마트가 이처럼 추가 출점 자제를 결의한 것은 국회에서 대형마트 규제 논의를 하자 '성의 표시'를 한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현재 국회엔 영업시간 제한,점포신설 허가제로의 전환,중소도시 출점 규제,취급품목 규제,점포 간 거리 규제 등 갖가지 제한을 담은 의원 입법안이 10개나 계류돼 있으며 이달 임시국회에서 본격 논의될 예정이다.

대형마트 입장에선 시장이 포화상태에 접어들고 있고 내년부터는 신규 출점계획이 거의 없는 상황인 만큼 지금이 '생색내기'하기에 적기라는 판단을 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산자부는 대형마트 규제와 관련,세계무역기구(WTO) 규정에 배치될 뿐 아니라 유통산업 발전과 소비자 후생 등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한편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3대 대형 유통업체는 매출액 대비 PB상품 비중을 현재 7~8%에서 2010년까지 선진국 수준인 25%가량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전체 매출에서 PB상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홈플러스 15%,이마트 5%,롯데마트가 4.8% 수준이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