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인생] 60대이후 근력감퇴ㆍ우울증…성장호르몬 투여 효과 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60대에 접어 들어 근력감퇴 성욕저하 골다공증 고지혈증 우울증 등을 부쩍 호소하는 사람이라면 성장호르몬 투여를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성장호르몬은 사춘기에 최고조를 이루고 20대 이후 매년 14.4%씩 감소해 60대가 되면 20대의 50% 이하,70대가 되면 20% 이하 수준으로 감소한다.
성장호르몬이 정상의 50% 이하로 줄어들면 동맥경화가 유발되고 복부에 지방이 끼며 사지근육이 마르고 모발과 골밀도의 감소가 현저해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김성운 경희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원래 성인에게 성장호르몬을 투여하는 경우는 뇌하수체나 뇌의 종양,산후 출혈로 인한 뇌하수체 기능저하증(쉬한증후군),자동차 사고나 방사선 치료 후 등으로 성장호르몬이 결핍된 상황으로 국한되지만 최근엔 노년기의 건강한 삶을 위해 성장호르몬 투여가 권장되고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노년기에 각종 불편한 증상이 나타나면 혈액검사로 성장호르몬이 부족한지 확인한 다음 최소량의 성장호르몬을 투여할 수 있다"며 "이를 통해 정상도 질병도 아닌 중간단계에서 고통받는 환자들의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고 말했다.
즉 성장호르몬을 투여하면 체지방이 3㎏ 정도 줄고 근육이 늘며 혈중 콜레스테롤이 내려가고 불면증 우울증 발기부전 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다만 당뇨병성 망막증,암,뇌졸중 등이 있으면 성장호르몬이 망막혈관 증식,암세포 성장촉진,뇌압 상승 등을 유발하므로 피해야 한다.
성장호르몬은 과거에는 매일 한차례 맞아야 했으나 올 1월 출시된 LG생명과학의 '디클라제'는 1주일에 한 번만 맞으면 되는 서방형 제제로서 치료를 간편하게 해주고 있다.
---------------------------------------------------------
■성장호르몬이 성인에 미치는 효과
1.지방(특히 복부) 분해 촉진
2.근육(근력) 및 골밀도 증가
3.심장 수축력과 운동능력 향상
4.신장기능 개선
5.콜라겐(피부 두께) 증가
6.단기기억력 엔돌핀 증진
7.불면증 불안증 우울증 개선
성장호르몬은 사춘기에 최고조를 이루고 20대 이후 매년 14.4%씩 감소해 60대가 되면 20대의 50% 이하,70대가 되면 20% 이하 수준으로 감소한다.
성장호르몬이 정상의 50% 이하로 줄어들면 동맥경화가 유발되고 복부에 지방이 끼며 사지근육이 마르고 모발과 골밀도의 감소가 현저해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김성운 경희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원래 성인에게 성장호르몬을 투여하는 경우는 뇌하수체나 뇌의 종양,산후 출혈로 인한 뇌하수체 기능저하증(쉬한증후군),자동차 사고나 방사선 치료 후 등으로 성장호르몬이 결핍된 상황으로 국한되지만 최근엔 노년기의 건강한 삶을 위해 성장호르몬 투여가 권장되고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노년기에 각종 불편한 증상이 나타나면 혈액검사로 성장호르몬이 부족한지 확인한 다음 최소량의 성장호르몬을 투여할 수 있다"며 "이를 통해 정상도 질병도 아닌 중간단계에서 고통받는 환자들의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고 말했다.
즉 성장호르몬을 투여하면 체지방이 3㎏ 정도 줄고 근육이 늘며 혈중 콜레스테롤이 내려가고 불면증 우울증 발기부전 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다만 당뇨병성 망막증,암,뇌졸중 등이 있으면 성장호르몬이 망막혈관 증식,암세포 성장촉진,뇌압 상승 등을 유발하므로 피해야 한다.
성장호르몬은 과거에는 매일 한차례 맞아야 했으나 올 1월 출시된 LG생명과학의 '디클라제'는 1주일에 한 번만 맞으면 되는 서방형 제제로서 치료를 간편하게 해주고 있다.
---------------------------------------------------------
■성장호르몬이 성인에 미치는 효과
1.지방(특히 복부) 분해 촉진
2.근육(근력) 및 골밀도 증가
3.심장 수축력과 운동능력 향상
4.신장기능 개선
5.콜라겐(피부 두께) 증가
6.단기기억력 엔돌핀 증진
7.불면증 불안증 우울증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