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조를 중심으로 한 금속노조가 25~29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반대 총파업을 강행(强行)키로 한 가운데 140여개 울산지역 시민단체들과 기업들이 대규모 궐기대회를 갖고 불법파업 저지에 나서기로 했다는 소식이다.

오죽했으면 일반 시민들까지 불법파업 저지를 위해 팔을 걷어붙여야 하는 상황이 초래됐는지 참으로 한심하기만 하다.

금속노조의 이번 파업은 어느모로 보나 명분도 없고 설득력도 없다.

조합원 근로조건과는 무관한 정치파업이란 사실은 굳이 따질 필요조차 없다.

한·미 FTA가 체결되면 가장 이득을 보는 게 바로 자동차업종인데 그런 업체들로 구성된 금속노조가 앞장서 한·미FTA를 반대한대서야 도대체 말이 되는가.

만일 한·미FTA가 무산된다면 자동차업체들의 영업실적은 예상보다 악화될 수밖에 없는 일이고 그리 되면 근로조건 또한 후퇴하게 될 것은 뻔한 이치다.

노조가 과연 이런 근로조건 악화를 감수할 각오를 하고 반대운동에 나서는 것인지 의아할 따름이다.

더욱이 이번 파업은 절차상으로도 문제가 많다.

금속노조가 조합원 투표조차 거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밀어붙였기 때문이다.

금속노조 측은 지난 4월 대의원대회에서 이미 결의됐던 사안인 만큼 절차상 문제가 없다고 강변하고 있지만 조합원들은 투표를 거치지 않은 파업에 거센 거부반응을 보이고 있는 게 현실이다.

전·현직 대의원을 비롯한 많은 조합원들이 대자보를 붙이거나 유인물을 배포하며 파업철회를 요구하고 있는 게 이를 단적으로 입증한다.

무리하게 강행하는 불법파업이 노조 내부의 분열과 지도부에 대한 불신(不信)만 키우고 있다는 이야기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이번 파업은 단지 파업을 위한 파업에 불과하다.

시민들까지 나서 지역경제에 대한 악영향을 우려하며 파업 자제를 호소하는데도 끝내 이를 외면하고 생산라인을 멈춘다면 금속노조는 물론 노동운동 자체가 설 자리를 잃게 될 것이다.

나아가 과격노동운동에 진저리를 치는 국민들 사이에 국산차 불매운동이 확산되며 자동차업체들이 위기에 빠져들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현대차노조는 21~22일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이번 파업에 대한 입장을 최종 정리키로 했다고 한다.

냉철하고 현명한 판단을 내리기를 기대한다. 금속노조 또한 무리한 파업계획을 당장 철회해야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