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추가협상이 이달 말 양국 간 협정문 서명 이후에나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30일 협정 체결까지는 시간이 촉박한 만큼 '선(先) 서명,후(後) 추가협상'에 나선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18일 정례브리핑에서 추가협상과 관련,"오는 30일 한·미 FTA 서명 시한을 맞추기 위해 부실한 협의를 해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30일 전까지 추가협의를 끝내기는 힘들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이 제안해온 내용은 예상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지만 세심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문제가 단순하고 협정문에 반영해도 큰 영향이 없다고 하면 (추가협상이) 빨라질 가능성도 있지만,현재 전망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천 대변인은 또 "30일 협정 체결식은 미룰 수 없다"며 "서명은 추가협의 내용과 별도로 한다는 방침에 변함이 없다"고 덧붙였다.

이는 사실상 '선 서명,후 추가협상'을 공식화한 것이다.

그는 21~22일 웬디 커틀러 미국 수석대표의 방한에 대해 "커틀러 대표가 오는 것은 추가협의가 아니라 일단 자세한 설명을 들어본다는 차원"이라며 "(추가협상에 응할지 말지) 대응은 분석이 끝난 뒤 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커틀러 대표로부터 추가협상이 기존 협정문에 어떤 영향을 줄지 등에 대한 설명을 들은 뒤 국내법 검토,관계부처 회의,대외경제장관회의 등을 거쳐 추가협상 수용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한편 수전 슈워브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지난 14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재계회의에서 추가협상과 관련,"한국은 이미 강력한 환경 보호조항과 높은 노동 기준을 갖고 있다"며 "추가협상은 단지 한국의 그런 높은 기준을 상호적으로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국이 노리는 것이 노동 환경조항의 상징적 강화라는 사실을 시사한 것이다.

슈워브 대표는 "추가협상은 한·미 양국이 각고의 노력 끝에 마련한 이익의 균형을 깨뜨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추가협상 일정을 감안할 때 오는 30일 서명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우려와 관련,"당초 예정대로 30일 워싱턴에서 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