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게임 '공습경보'‥ 한ㆍ일 합작… 영향력 클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게임 업계에 '메이드인재팬' 경보가 떨어졌다.
여름방학을 앞두고 일본 콘텐츠를 소재로 만든 온라인게임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다.
'케로로''독수리5형제''드래곤볼' 등 널리 알려진 콘텐츠로 만든 게임이어서 상당한 파장을 가져올 전망이다.
전에도 일본 온라인게임이 한국에서 서비스된 적이 있지만 이렇다할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다.
그러나 앞으로 나올 온라인게임은 한국 시장을 겨냥해 한국과 일본 기업이 공동 개발했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름만으로도 눈길을 끌 만한 일본 캐릭터에 한국 온라인게임 기술을 결합한 만큼 무시 못할 세력으로 등장할 수 있다는 얘기다.
대표적 한·일 합작 온라인게임으로 '케로로온라인'을 들 수 있다.
구름인터렉티브는 비공개 시범 서비스를 앞두고 게이머를 모집 중이다.
케로로온라인은 도쿄TV가 방영한 애니메이션 '개구리중사 케로로'를 토대로 만든 온라인게임이다.
케로로가 나오는 역할수행게임(RPG)도 개발하고 있다.
투자비만 100억원 이상으로 알려졌다.
NHN 한게임은 캐주얼 슈팅게임 '독수리5형제'를 비공개 시범 서비스하고 있다.
이 게임은 일본 다쓰노코 프로덕션과 한국 NF게임이 계약을 맺고 개발했다.
그라비티는 일본 겅호온라인으로부터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에밀크로니클 온라인'의 판권을 600만달러에 사들여 최근 비공개 시범 서비스에 들어갔다.
일본 온라인게임에 가장 눈독을 들이는 업체는 CJ인터넷이다.
일본 반다이와 계약을 맺고 곧 서비스를 시작하는 '드래곤볼온라인'을 비롯해 '진삼국무쌍 온라인',일본의 국민 캐릭터 건담을 모델로 한 'SD건담 캡슐파이터','슈퍼몽키볼 레이싱','스트라가든','대항해시대 온라인' 등 라인업 대부분이 일본 게임이다.
일본 게임을 들여오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몸값'만 올려주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일본 업체가 한국 게임 업체와 손잡고 헐값에 온라인게임을 개발한 뒤 한국 서비스 업체에 비싸게 팔아 돈을 챙기는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이 과정에서 한국 게임 업체가 사실상 하청업체로 전락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들린다.
일본 게임 의존도가 높은 CJ인터넷은 이에 대해 "일본 게임 계약이 상반기에 몰리는 바람에 오해를 산 것"이라며 "국내에서 개발한 국산 게임도 연내에 10여종 공개할 예정"이라고 해명했다.
또 "누구나 군침을 흘리는 일본 게임을 CJ인터넷이 서비스한다는 것은 그만큼 서비스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이 아니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나 게임 업계는 우려의 목소리를 감추지 못한다.
한 관계자는 "애니메이션 산업이 경쟁력을 잃어 하청기지로 전락한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며 "일본 유명 콘텐츠에 의존해 쉽게 가기보다는 국내 게임 개발사들과 협력해 독창적인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
여름방학을 앞두고 일본 콘텐츠를 소재로 만든 온라인게임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다.
'케로로''독수리5형제''드래곤볼' 등 널리 알려진 콘텐츠로 만든 게임이어서 상당한 파장을 가져올 전망이다.
전에도 일본 온라인게임이 한국에서 서비스된 적이 있지만 이렇다할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다.
그러나 앞으로 나올 온라인게임은 한국 시장을 겨냥해 한국과 일본 기업이 공동 개발했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름만으로도 눈길을 끌 만한 일본 캐릭터에 한국 온라인게임 기술을 결합한 만큼 무시 못할 세력으로 등장할 수 있다는 얘기다.
대표적 한·일 합작 온라인게임으로 '케로로온라인'을 들 수 있다.
구름인터렉티브는 비공개 시범 서비스를 앞두고 게이머를 모집 중이다.
케로로온라인은 도쿄TV가 방영한 애니메이션 '개구리중사 케로로'를 토대로 만든 온라인게임이다.
케로로가 나오는 역할수행게임(RPG)도 개발하고 있다.
투자비만 100억원 이상으로 알려졌다.
NHN 한게임은 캐주얼 슈팅게임 '독수리5형제'를 비공개 시범 서비스하고 있다.
이 게임은 일본 다쓰노코 프로덕션과 한국 NF게임이 계약을 맺고 개발했다.
그라비티는 일본 겅호온라인으로부터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에밀크로니클 온라인'의 판권을 600만달러에 사들여 최근 비공개 시범 서비스에 들어갔다.
일본 온라인게임에 가장 눈독을 들이는 업체는 CJ인터넷이다.
일본 반다이와 계약을 맺고 곧 서비스를 시작하는 '드래곤볼온라인'을 비롯해 '진삼국무쌍 온라인',일본의 국민 캐릭터 건담을 모델로 한 'SD건담 캡슐파이터','슈퍼몽키볼 레이싱','스트라가든','대항해시대 온라인' 등 라인업 대부분이 일본 게임이다.
일본 게임을 들여오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몸값'만 올려주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일본 업체가 한국 게임 업체와 손잡고 헐값에 온라인게임을 개발한 뒤 한국 서비스 업체에 비싸게 팔아 돈을 챙기는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이 과정에서 한국 게임 업체가 사실상 하청업체로 전락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들린다.
일본 게임 의존도가 높은 CJ인터넷은 이에 대해 "일본 게임 계약이 상반기에 몰리는 바람에 오해를 산 것"이라며 "국내에서 개발한 국산 게임도 연내에 10여종 공개할 예정"이라고 해명했다.
또 "누구나 군침을 흘리는 일본 게임을 CJ인터넷이 서비스한다는 것은 그만큼 서비스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이 아니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나 게임 업계는 우려의 목소리를 감추지 못한다.
한 관계자는 "애니메이션 산업이 경쟁력을 잃어 하청기지로 전락한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며 "일본 유명 콘텐츠에 의존해 쉽게 가기보다는 국내 게임 개발사들과 협력해 독창적인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