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부가 비리 공직자 1위 부처라면서요.

기자들은 뭐 했어요 감시 안하고.출입기자로서 창피하지도 않습니까.

눈에 불을 켜고 지켜보셔야지요."

국가청렴위원회가 '566개 공공기관의 비위 면직자 분석결과'를 발표한 다음 날인 19일 아침 정통부 기자실로 출근한 기자는 봉변 아닌 봉변을 당했다.

알고 지내는 통신회사 직원이 청렴위 기사를 읽고 인사를 겸해 던진 뼈 있는 농담이었다.

청렴위 발표의 요지는 2002년부터 5년간 비리로 당연퇴직하거나 파면·해임된 정통부 직원이 51명이나 되고 조사 대상 566개 공공기관 중 1위라는 것이다.

정통부가 그 흔한 해명자료 하나 내지 않는 걸 보면 할 말이 없는 모양이다.

충격은 2년6개월 동안 정통부를 취재해온 기자에게도 그대로 전해졌다.

집을 빼고는 하루 중 가장 오래 머무는 곳이 정통부 기자실(대통령 말을 빌리자면 죽치고 앉아 있는 곳)인 기자로선 곤혹스러웠다.

홍보실 직원의 전화를 받고 나서 한참이 지나서도 얼굴이 화끈거렸다.

이런 결과에 대해 출입기자로서 책임을 통감하지 않을 수 없다.

긴 출입기간 동안 정통부를 제대로 감시했더라면 최소한 비리부처 1위라는 오명은 피할 수 있지 않았을까.

좀 더 자주 사무실을 둘러봤더라면 비리 가능성을 줄일 수 있지 않았을까.

정통부는 어느 부처보다 규제권과 허가권을 많이 가지고 있다.

공무원이 아직도 목에 뻣뻣이 힘을 줄 수 있는 몇 안 되는 부처로 꼽힌다.

그만큼 비리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

정통부를 대상으로 로비를 벌이는 통신회사의 대관업무 조직이 최근 수 년 새 비정상적으로 비대해진 것도 이번 결과와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

게다가 수조원대 돈을 굴리는 우정사업본부(우체국 금융)도 거느리고 있지 않은가.

앞으로가 더 문제다.

대통령이 대못질해 넘겨주겠다고 한 기자실마저 없어진다면 정통부를 감시하기가 더 어려워지지 않을까.

기자실이 언제 없어질지 모르지만 출입기자로서 최선을 다하는 방법밖에 없다.

그리고 대다수 정통부 공무원은 야근을 밥먹 듯하며 소임을 다하고 있다는 변론은 꼭 해주고 싶다.

고기완 IT부 기자 dad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