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zⓝCEO] 한국분체기계(주)‥분쇄분체기술 국산화…'하이테크' 강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이 기사는 BizⓝCEO 기획특별판 입니다 >
초미립 분쇄시스템 성능 외산제품 능가
한국분체기계㈜(대표이사 안태철 www.hankookmc.co.kr)는 분쇄분체기술의 국산화에 성공한 하이테크 기업이다.
독일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분쇄분체기술이 초미분(1마이크론) 이하인 서브마이크론(sub micron-nano) 수준으로 개발돼 신소재 개발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술적 인프라가 취약한 국내에서는 아직 초보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 상태다.
한국분체기계는 한양대 영남대 한국화학연구원과 수년에 걸쳐 공동연구를 진행한 끝에 최근 '초미립 분쇄시스템'인 '마이크로 에어 제트 밀(MICRO AIR JET MILL)'과'마이크로 에어 클래시파이어 밀(MICRO AIR CLASSIFIER MILL)'개발에 성공했다.
이 기술은 해외 제품의 성능을 능가한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다른 분쇄기종과 달리 철분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분쇄 시 온도상승이 매우 적다.
또 기계 내부소음이 환경부 기준치를 만족시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뿐만 아니라 분쇄 후 유지관리도 간편하다.
HACCP(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과 GMP(우수의약품 제조관리기준)를 충족시키는 '친환경 기기'여서 수출도 기대할 수 있다.
내마모성이 강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안태철 대표는 "우리가 생산 중인 초미립 분쇄시스템은 식품,의약품,화장품,화학,석유화학,사료,비료,광산,폐기물,미네랄 등 산업전반에 걸쳐 적용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국분체기계가 이룬 기술적 쾌거는 '역경의 열매'다.
이 회사는 설립 초기부터 전문화,특성화에 역량을 집중했으며,품질경영시스템(ISO 9001) 및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을 획득하는 등 차별화된 제품군을 개발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국내 최고의 납품실적은 이런 노력의 보상인 셈이다.
안태철 대표는 "24시간 긴급 애프터 서비스 구축 등 고객감동을 실현하고 있다"며"사용자가 만족할 때까지 제품을 개선해 나가는 장인정신이 성장의 밑거름이 됐다"고 말했다.
양승현 기자 yangsk@hankyung.com
초미립 분쇄시스템 성능 외산제품 능가
한국분체기계㈜(대표이사 안태철 www.hankookmc.co.kr)는 분쇄분체기술의 국산화에 성공한 하이테크 기업이다.
독일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분쇄분체기술이 초미분(1마이크론) 이하인 서브마이크론(sub micron-nano) 수준으로 개발돼 신소재 개발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술적 인프라가 취약한 국내에서는 아직 초보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 상태다.
한국분체기계는 한양대 영남대 한국화학연구원과 수년에 걸쳐 공동연구를 진행한 끝에 최근 '초미립 분쇄시스템'인 '마이크로 에어 제트 밀(MICRO AIR JET MILL)'과'마이크로 에어 클래시파이어 밀(MICRO AIR CLASSIFIER MILL)'개발에 성공했다.
이 기술은 해외 제품의 성능을 능가한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다른 분쇄기종과 달리 철분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분쇄 시 온도상승이 매우 적다.
또 기계 내부소음이 환경부 기준치를 만족시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뿐만 아니라 분쇄 후 유지관리도 간편하다.
HACCP(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과 GMP(우수의약품 제조관리기준)를 충족시키는 '친환경 기기'여서 수출도 기대할 수 있다.
내마모성이 강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안태철 대표는 "우리가 생산 중인 초미립 분쇄시스템은 식품,의약품,화장품,화학,석유화학,사료,비료,광산,폐기물,미네랄 등 산업전반에 걸쳐 적용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국분체기계가 이룬 기술적 쾌거는 '역경의 열매'다.
이 회사는 설립 초기부터 전문화,특성화에 역량을 집중했으며,품질경영시스템(ISO 9001) 및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을 획득하는 등 차별화된 제품군을 개발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국내 최고의 납품실적은 이런 노력의 보상인 셈이다.
안태철 대표는 "24시간 긴급 애프터 서비스 구축 등 고객감동을 실현하고 있다"며"사용자가 만족할 때까지 제품을 개선해 나가는 장인정신이 성장의 밑거름이 됐다"고 말했다.
양승현 기자 yangs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