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업종, 금융지주회사 가치 상승 인정해야-현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대증권은 21일 은행업종에 대해 금융지주회사가 보유한 비은행 자회사의 가치 상승을 인정해야 한다며 하나금융지주 등 금융지주회사들의 목표주가를 모두 올렸다.
하지만 NIM 하락에 의한 수익성 정체라는 기본적인 틀에 변화가 없어 은행업종에 대한 투자의견은 기존의견 그대로 '중립'을 유지했다.
구경회 현대증권 애널리스트는 "신한, 우리, 하나금융지주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은행업종의 PBR을 적용받아 비은행 자회사의 가치 상승분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며 "업종별 상장기업의 PBR평균치를 근거로 비은행 자회사에는 은행보다 높은 PBR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현대증권은 이런 점을 감안해 하나금융지주, 신한지주, 우리금융의 목표가를 각각 6만2000원, 6만4000원, 2만7000원으로 각각 상향조정했다.
구 애널리스트는 "특히 하나금융지주는 부문별로 특화된 2개의 증권 자회사를 육성하는 등 비은행 업무의 비중을 높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M&A 실패라는 악재가 과도하게 반영돼 저평가됐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함께 은행업종 탑픽으로 제시한다"고 밝혔다.
한경닷컴 이유선 기자 yury@hankyung.com
하지만 NIM 하락에 의한 수익성 정체라는 기본적인 틀에 변화가 없어 은행업종에 대한 투자의견은 기존의견 그대로 '중립'을 유지했다.
구경회 현대증권 애널리스트는 "신한, 우리, 하나금융지주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은행업종의 PBR을 적용받아 비은행 자회사의 가치 상승분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며 "업종별 상장기업의 PBR평균치를 근거로 비은행 자회사에는 은행보다 높은 PBR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현대증권은 이런 점을 감안해 하나금융지주, 신한지주, 우리금융의 목표가를 각각 6만2000원, 6만4000원, 2만7000원으로 각각 상향조정했다.
구 애널리스트는 "특히 하나금융지주는 부문별로 특화된 2개의 증권 자회사를 육성하는 등 비은행 업무의 비중을 높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M&A 실패라는 악재가 과도하게 반영돼 저평가됐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함께 은행업종 탑픽으로 제시한다"고 밝혔다.
한경닷컴 이유선 기자 yur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