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악인 엄홍길, '산은 정복할 수 없다. 잠시 빌릴 뿐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악인 엄홍길하면 히말라야가 떠오른다. 세계 최초로 히말라야 16개의 봉우리를 정복한 주인공이다. 지난 5월31일 15시간의 사투 끝에 해발 8,400m의 로체샤르 정상을 밟았다.
그런 그가 20일 MBC '황금어장'-'무릎팍도사'에 출연했다. 히말아야 해발 2000m에서 방송이 진행됐다. 그 자체가 신선했다. 엄홍길 원정대장은 "산과 관련된 삶을 나눌수 있다"고 생각해 섭외에 응했다고 했다.
방송내용 역시 알차고 무게가 있었다. 시청자들을 뭉클케하는 그 무엇이 있었다.
이 자리에서 엄 대장은 등반시 맸던 배낭을 공개했다. 소지품은 산악인들의 필수품들이었다. 구체적으로 '생명장치물'인 등산화, 안전장갑, 아이젠 등이 나왔다. 그리고 사진 한장.
바로 그 사진은 지난 2003년 로체샤르를 함께 등반했다가 목숨을 잃었던 동료 대원들이었다. 갑작스런 눈사태로 인해 바로 눈앞에서 박주훈 대원, 황선덕 대원을 잃어야 했다.
엄 대장은 “술을 한 잔 한다던지 좋은 자리, 좋은 시간을 가질 때마다 동료들이 뼈에 사무치도록 생각난다. 그래서 히말라야를 떠나지 못하는 것 같다"고 고백했다.
그는 16좌 등정을 완성하는 날, 15시간의 숨 막혔던 사투를 생생히 전해주기도 했다.
해발 8000m 이상은 '신의 영역'이라고 불린다. 이곳에서 너무 힘들다보니 환각증세까지 일어났다. 줄에 매달려 깜빡 졸면 친구들과 편하게 이야기하는 단꿈을 꾸곤 했다. 그러다 깨어나면 다시 극한 현실임을 깨닫고 정신을 가다듬곤 했다.
“산을 알면 알수록, 또 깊이를 알면 알수록 두렵다. 죽음에 대한 공포를 많이 느낀다.” 엄 대장은 이 같은 공포를 정신력 하나로 극복해 나갔다고 말했다.
"정복이라는 표현은 맞지 않다. 인간이 어떻게 자연을 정복하느냐, 잠시 그 곳을 빌릴뿐이다."
16번째 봉우리에 올라서자 38회나 히말라야에 올랐던 기억들이 주마등처럼 스쳐갔다. 동시에 함께 등반하다 숨진 후배들의 얼굴이 오버랩됐다. 그들이 우리를 안전하게 인도하지 않았던가.
"등반하다 목숨을 잃은 후배들 사진을 태극기와 함께 정상에 묻으려고 했다. ‘너희들이 오르고 싶어 했던 곳인데 너희들 덕택에 내가 올랐다. 나와 같이 올라왔으니 응어리진 마음 풀고 로체샤르를 떠나라’고 후배들을 묻어주고 기념 사진을 촬영하려는 찰나 갑작스런 사고가 발생했다”고 엄 대장은 당시의 극적인 상황을 여과없이 전했다.
사진을 찍으려고 대원이 선그라스를 벗는 순간 눈에서 반사된 자외선으로 인해 시력을 상실한 ‘설맹’이 된 것이었다. 말도 안 나오는 기막힌 상황이었다.
모든 체력이 바닥나 살아 내려갈지도 의문인 상황이었다. 산을 내려가는 것 자체가 큰 모험이었다. 서로의 몸에 줄을 연결한 채 격려하며 내려갔다. 엄 대장은 정상적으로 5시간 걸릴 하산 길을 10시간 걸렸다고 당시의 상황을 회상했다.
그것도 통신마저 두절된 상태였으니 그 고통은 오죽했을까. 참으로 ‘기적의 생환’이었다. 베이스캠프에서도 갑작스런 통신 두절에 실종기사를 전송할 준비를 마친 상황이었다.
이날 방송에서 엄 대장은 이렇게 말했다. "산은 인간의 힘으로 컨트롤 할 수 있는 곳이 아니다. 그 곳의 신이 허락해야만 살아 남을 수 있다"
당시 엄 대장과 사투를 함께 벌였던 모상현, 변성호 대원은 현재 국내 병원에서 동상과 설맹을 치료 중에 있다. 히말라야에서 진행된 녹화에서 두 대원의 건강한 모습이 담긴 영상을 받아본 엄 대장은 끝내 눈물을 감추지 못했다.
엄홍길 대장은 고비를 맞을 때마다 습관적으로 아내와 두 아이를 생각하며 끊임없이 자기 암시를 건다. ‘나에게 어떤 용기를 달라. 목숨이 끊어지는 그 순간까지 난 포기하지 않을 테니까’라고.
방송을 본 시청자들은 “감동적이었다”, “엄홍길 대장의 산악 정신이야말로 진정한 무릎 팍 정신이다” , “신선하다라는 차원을 넘어 벅찬 감동을 느낄 수 있었다” 등 호평을 아끼지 않고 있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
그런 그가 20일 MBC '황금어장'-'무릎팍도사'에 출연했다. 히말아야 해발 2000m에서 방송이 진행됐다. 그 자체가 신선했다. 엄홍길 원정대장은 "산과 관련된 삶을 나눌수 있다"고 생각해 섭외에 응했다고 했다.
방송내용 역시 알차고 무게가 있었다. 시청자들을 뭉클케하는 그 무엇이 있었다.
이 자리에서 엄 대장은 등반시 맸던 배낭을 공개했다. 소지품은 산악인들의 필수품들이었다. 구체적으로 '생명장치물'인 등산화, 안전장갑, 아이젠 등이 나왔다. 그리고 사진 한장.
바로 그 사진은 지난 2003년 로체샤르를 함께 등반했다가 목숨을 잃었던 동료 대원들이었다. 갑작스런 눈사태로 인해 바로 눈앞에서 박주훈 대원, 황선덕 대원을 잃어야 했다.
엄 대장은 “술을 한 잔 한다던지 좋은 자리, 좋은 시간을 가질 때마다 동료들이 뼈에 사무치도록 생각난다. 그래서 히말라야를 떠나지 못하는 것 같다"고 고백했다.
그는 16좌 등정을 완성하는 날, 15시간의 숨 막혔던 사투를 생생히 전해주기도 했다.
해발 8000m 이상은 '신의 영역'이라고 불린다. 이곳에서 너무 힘들다보니 환각증세까지 일어났다. 줄에 매달려 깜빡 졸면 친구들과 편하게 이야기하는 단꿈을 꾸곤 했다. 그러다 깨어나면 다시 극한 현실임을 깨닫고 정신을 가다듬곤 했다.
“산을 알면 알수록, 또 깊이를 알면 알수록 두렵다. 죽음에 대한 공포를 많이 느낀다.” 엄 대장은 이 같은 공포를 정신력 하나로 극복해 나갔다고 말했다.
"정복이라는 표현은 맞지 않다. 인간이 어떻게 자연을 정복하느냐, 잠시 그 곳을 빌릴뿐이다."
16번째 봉우리에 올라서자 38회나 히말라야에 올랐던 기억들이 주마등처럼 스쳐갔다. 동시에 함께 등반하다 숨진 후배들의 얼굴이 오버랩됐다. 그들이 우리를 안전하게 인도하지 않았던가.
"등반하다 목숨을 잃은 후배들 사진을 태극기와 함께 정상에 묻으려고 했다. ‘너희들이 오르고 싶어 했던 곳인데 너희들 덕택에 내가 올랐다. 나와 같이 올라왔으니 응어리진 마음 풀고 로체샤르를 떠나라’고 후배들을 묻어주고 기념 사진을 촬영하려는 찰나 갑작스런 사고가 발생했다”고 엄 대장은 당시의 극적인 상황을 여과없이 전했다.
사진을 찍으려고 대원이 선그라스를 벗는 순간 눈에서 반사된 자외선으로 인해 시력을 상실한 ‘설맹’이 된 것이었다. 말도 안 나오는 기막힌 상황이었다.
모든 체력이 바닥나 살아 내려갈지도 의문인 상황이었다. 산을 내려가는 것 자체가 큰 모험이었다. 서로의 몸에 줄을 연결한 채 격려하며 내려갔다. 엄 대장은 정상적으로 5시간 걸릴 하산 길을 10시간 걸렸다고 당시의 상황을 회상했다.
그것도 통신마저 두절된 상태였으니 그 고통은 오죽했을까. 참으로 ‘기적의 생환’이었다. 베이스캠프에서도 갑작스런 통신 두절에 실종기사를 전송할 준비를 마친 상황이었다.
이날 방송에서 엄 대장은 이렇게 말했다. "산은 인간의 힘으로 컨트롤 할 수 있는 곳이 아니다. 그 곳의 신이 허락해야만 살아 남을 수 있다"
당시 엄 대장과 사투를 함께 벌였던 모상현, 변성호 대원은 현재 국내 병원에서 동상과 설맹을 치료 중에 있다. 히말라야에서 진행된 녹화에서 두 대원의 건강한 모습이 담긴 영상을 받아본 엄 대장은 끝내 눈물을 감추지 못했다.
엄홍길 대장은 고비를 맞을 때마다 습관적으로 아내와 두 아이를 생각하며 끊임없이 자기 암시를 건다. ‘나에게 어떤 용기를 달라. 목숨이 끊어지는 그 순간까지 난 포기하지 않을 테니까’라고.
방송을 본 시청자들은 “감동적이었다”, “엄홍길 대장의 산악 정신이야말로 진정한 무릎 팍 정신이다” , “신선하다라는 차원을 넘어 벅찬 감동을 느낄 수 있었다” 등 호평을 아끼지 않고 있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