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다시 시중 유동성 조이기에 나섰다.

한국은행은 21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3분기부터 적용되는 중소기업 지원용 총액대출 한도를 현행보다 1조5000억원 줄어든 6조5000억원으로 결정했다.

이는 6개월 만에 한도를 추가로 축소한 것으로 지난해 말 지급준비율을 올린 것처럼 시중의 과잉 유동성 흡수 효과를 노린 조치다.

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규제를 피해 중소기업 대출에 적극 나서면서 리스크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시중은행들은 이번 결정에 따라 한도가 줄어든 1조5000억원을 다음 달 2일까지 한은에 돌려줘야 한다.

그만큼 본원통화가 줄어든다.

금융기관별 한도는 현행 3조원에서 1조5000억원으로 줄어들었지만 지방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지역본부별 한도(4조9000억원)와 유보금(1000억원)은 현행과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됐다.

총액한도 대출 제도는 한은이 은행들의 중소기업 대출 취급을 유도하기 위해 저리로 자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 대출 금리는 연 2.75%다.

한은은 총액대출 한도를 축소한 배경에 대해 "최근 은행들의 적극적인 중소기업 대출 확대로 중기금융 여건이 크게 개선됨에 따라 총액한도 대출 지원 필요성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또 "총액한도 대출 제도를 운영하면서 중앙은행의 유동성 조절 기능이 제약받고 있으며 통화안정증권 누증에 따른 문제점 등을 완화할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총액대출 한도 축소로 한은의 유동성 긴축에 대한 입장이 재차 확인되면서 금리가 급등했다.

이날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0.06%포인트 오른 연 5.32%,5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0.09%포인트 상승한 연 5.47%에 마감됐다.

박성완 기자 ps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