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보복폭행 사건을 둘러싸고 강대원 전 남대문경찰서 수사과장의 '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찰의 초동수사에서 상부의 압력이 있었음을 시사한 강 전 과장이 25일 '양심선언' 성격의 기자회견을 여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검찰은 이에 앞서 지난 4월 초 강 전 과장의 계좌로 1500만원이 입금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돈이 입금된 시기는 서울경찰청 형사과장이 광역수사대가 수집한 첩보를 남대문 경찰서에 내려보내 남대문서가 내사를 벌이던 때다.

강 전 과장은 주말인 23일 서울중앙지검 기자실을 찾아 "4월 초 내 계좌로 입금된 1500만원은 친구에게 빌려줬던 돈을 몇 차례에 걸쳐 돌려받은 것으로 이번 사건과 아무 관련이 없다"고 해명하면서 "이 사건을 벌써 (오래 전부터) 알고 있었다.

위의 지시가 있어서 (수사를) 못 했던 것을 다 밝히겠다"며 폭탄발언을 했다.

강 전 과장이 25일 기자회견을 열고 경찰 내 어느 선에서 수사에 직접적으로 압력을 행사했는지 구체적으로 증언할 경우 김 회장 보복폭행에 대한 경찰의 은폐·축소 수사 의혹은 사실로 규명되며 경찰 수뇌부는 상당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경찰 내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은 강 전 과장에게 입금된 돈이 한화 측에서 전달한 돈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경찰 감찰 조사에서는 강 전 과장을 비롯해 경찰 간부와 한화 측의 부정한 금품 거래 정황은 없었던 것으로 결론이 났었다.

강 전 과장은 "수십년 동안 수사 일선에 있었던 사람이 드러날 게 뻔한데 고작 1000만원의 뇌물을 계좌이체로 받았겠느냐"며 한화 측과의 금품 거래 의혹을 강하게 부정하고 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