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에는 이물질이 전혀 없는 순수한 H20 형태의 '초순수(超純水)'가 들어가지만 반도체 생산라인을 거치면서 중금속 등을 함유한 폐수가 배출된다.
이렇게 나오는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첫 번째가 폐수처리시설 및 필터를 통해 인체에 해로운 중금속 등을 걸러낸 뒤 하천에 방류하는 것이다.
현재 세계 주요 반도체업체들이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방식이다.
이와 달리 '무방류시스템'은 반도체라인에서 배출되는 물에 녹아있는 중금속을 폐수처리시스템을 이용해 1차로 걸러낸 뒤 '역삼투시스템'을 이용해 2차로 정화시킨다.
역삼투시스템을 거쳐 나온 물 가운데 70~80%가량은 초순수시스템을 통해 순수한 H20 형태로 만들어져 라인에 재투입된다.
나머지 20%의 물은 '증발농축시스템'에 투입돼 중금속만 분말 형태로 최종 분리된다.
물론 일반적인 폐수처리시스템에 비해 비용은 3~5배가량 많이 든다. 더욱이 일각에선 무방류시스템으로 구리공정을 만드는데도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현재의 법체계가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무방류시스템이란 말 그대로 어떤 오염물질도 강으로 흘려보내지 않는 것인데 정부가 환경규제를 들이대 허용 권한을 갖는 것 자체가 난센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 측은 한강 상수원을 엄격히 관리하기 위해 이러한 법 체계가 마련됐지만 이번 하이닉스 공정 전환 이슈를 계기로 개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