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전방위 경쟁력 강화 방안' 왜 추진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그룹은 27일 계열사별로 '경쟁력 강화방안' 마련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핵심은 각 계열사의 기존 사업을 총체적으로 재점검하겠다는 것이다.
인위적인 '사업 및 인력 구조조정'은 아니지만 한계사업을 정리하고 기존 주력사업의 경쟁력 수준을 원점에서 들여다보겠다는 게 이 방안의 골자다.
삼성이 이 같은 방안을 추진하는 것은 최근의 경영상황이 심각하다는 자체 진단에 따른 것이다.
대외적으로 고유가 기조와 원화 강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내부적으로는 반도체 시황 악화로 주력 계열사인 삼성전자가 좀처럼 실적부진을 타개하지 못하고 있는 게 가장 큰 원인이다.
따라서 이번 방침은 이 같은 상황을 극복하고 향후 닥칠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실행 로드맵을 수립하기 위해 취한 조치다.
◆글로벌 생산기지 재배치
경쟁력 강화방안 마련은 이학수 전략기획실장이 직접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건희 회장이 "5∼6년 후 심각한 위기를 맞을 수 있다"고 지적한 것과 관련,그룹의 수뇌부가 대응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그룹 관계자는 "핵심은 계열사들이 자발적으로 현재의 사업과 인력구조를 경쟁력 있게 재편하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계열사에 내려진 지침은 크게 6가지다.
먼저 신수종사업 발굴을 전담할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라는 것.삼성전자 등이 2∼3년 전부터 차세대 먹거리 발굴을 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자 수뇌부가 독려에 나선 것이다.
삼성은 신성장동력 발굴과 맞물려 투자 계획의 우선순위 조정에도 착수키로 했다.
한계에 부딪친 기존 주력사업 투자를 늘리기보다는 수익성이 좋은 사업에 투자를 더 확대해야 한다는 것.지침에는 또 글로벌 생산기지의 전략적인 재배치도 포함됐다.
이미 그룹 매출의 80% 이상이 해외에서 발생하는 상황에서 해외의 신흥시장,선진시장 등의 특성에 맞는 △생산 △연구개발(R&D) △마케팅 역량을 조정하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삼성은 저수익 사업 비중을 축소하고 골프장 회원권 등 무수익자산 비중을 줄이는 한편 전사 차원의 비용절감 활동에도 나선다는 계획이다.
◆일부 사업은 이미 한계봉착?
삼성이 이처럼 전방위적인 '경쟁력 강화방안'을 마련키로 한 것은 삼성전자 반도체부문 등 일부 계열사의 실적 부진 때문이다.
특히 그룹의 핵심계열사인 삼성전자 반도체 실적 악화가 이번 조치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실제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은 지난 1분기 4년래 최악인 1조1000억원대의 영업이익에 그쳤고,2분기에는 1조원 미만의 이익을 낼 것으로 전망되는 등 한계에 봉착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3분기 이후 실적개선이 예상되지만 그 폭은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여기에 삼성SDI는 PDP패널 및 브라운관 사업이 성장한계에 봉착했고,삼성코닝 역시 최근 일부 브라운관용 기판유리 생산라인을 철수시키는 등 한계에 다다랐다는 점도 이번 조치가 나온 배경이다.
이들 2개사는 이미 그룹 차원의 경영진단을 받은 상태에서 인력 구조조정과 함께 일부 수익성이 떨어지는 지방 사업장을 철수하는 방안까지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이들 회사 외에 다른 계열사의 실적은 좋은 편이다.
삼성전기는 올 들어 흑자전환을 이루고 있고 삼성테크윈도 흑자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삼성중공업 삼성엔지니어링 삼성물산 삼성생명 삼성카드 등 비(非)전자계열사들도 견조한 실적을 기록 중이다.
하지만 이들 계열사 역시 향후 5년,10년 이후의 성장동력이 없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구조조정 딜레마 빠지나
이처럼 삼성이 그룹 차원에서 경쟁력 강화방안을 추진키로 함에 따라 관심은 과연 대대적인 인력 구조조정이 이뤄질 것인가에 쏠리고 있다.
일부 계열사들이 한계사업 축소에 나설 경우 인력 구조조정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다.
실제 연초부터 삼성 안팎에서는 실적이 부진한 전자 계열사를 중심으로 '임원 20% 감원' 등 인력 감축설이 나돌았었다.
특히 지난 4월과 5월 삼성SDI가 그룹 차원의 경영진단을 받고 삼성전자의 정보통신총괄과 국내영업사업부도 경영진단을 받으면서 이 같은 가능성에 무게가 실렸었다.
하지만 삼성은 이날 "대대적인 인력 감축 계획은 없다"고 못박았다.
그룹 관계자는 "외환위기 때 실시한 구조조정 당시에도 그런 정도의 인원감축은 하지 않았다"며 "삼성그룹 금융계열사나 중공업 등 대부분의 계열사는 실적이 상당히 좋은 만큼 그룹차원에서 대규모 구조조정을 해야 할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경영실적이 극히 부진한 계열사의 경우 최고경영자(CEO)의 판단 아래 감원이 일부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고 밝혀 일부 계열사에서는 인력 구조조정(감축 또는 재배치)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
핵심은 각 계열사의 기존 사업을 총체적으로 재점검하겠다는 것이다.
인위적인 '사업 및 인력 구조조정'은 아니지만 한계사업을 정리하고 기존 주력사업의 경쟁력 수준을 원점에서 들여다보겠다는 게 이 방안의 골자다.
삼성이 이 같은 방안을 추진하는 것은 최근의 경영상황이 심각하다는 자체 진단에 따른 것이다.
대외적으로 고유가 기조와 원화 강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내부적으로는 반도체 시황 악화로 주력 계열사인 삼성전자가 좀처럼 실적부진을 타개하지 못하고 있는 게 가장 큰 원인이다.
따라서 이번 방침은 이 같은 상황을 극복하고 향후 닥칠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실행 로드맵을 수립하기 위해 취한 조치다.
◆글로벌 생산기지 재배치
경쟁력 강화방안 마련은 이학수 전략기획실장이 직접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건희 회장이 "5∼6년 후 심각한 위기를 맞을 수 있다"고 지적한 것과 관련,그룹의 수뇌부가 대응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그룹 관계자는 "핵심은 계열사들이 자발적으로 현재의 사업과 인력구조를 경쟁력 있게 재편하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계열사에 내려진 지침은 크게 6가지다.
먼저 신수종사업 발굴을 전담할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라는 것.삼성전자 등이 2∼3년 전부터 차세대 먹거리 발굴을 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자 수뇌부가 독려에 나선 것이다.
삼성은 신성장동력 발굴과 맞물려 투자 계획의 우선순위 조정에도 착수키로 했다.
한계에 부딪친 기존 주력사업 투자를 늘리기보다는 수익성이 좋은 사업에 투자를 더 확대해야 한다는 것.지침에는 또 글로벌 생산기지의 전략적인 재배치도 포함됐다.
이미 그룹 매출의 80% 이상이 해외에서 발생하는 상황에서 해외의 신흥시장,선진시장 등의 특성에 맞는 △생산 △연구개발(R&D) △마케팅 역량을 조정하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삼성은 저수익 사업 비중을 축소하고 골프장 회원권 등 무수익자산 비중을 줄이는 한편 전사 차원의 비용절감 활동에도 나선다는 계획이다.
◆일부 사업은 이미 한계봉착?
삼성이 이처럼 전방위적인 '경쟁력 강화방안'을 마련키로 한 것은 삼성전자 반도체부문 등 일부 계열사의 실적 부진 때문이다.
특히 그룹의 핵심계열사인 삼성전자 반도체 실적 악화가 이번 조치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실제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은 지난 1분기 4년래 최악인 1조1000억원대의 영업이익에 그쳤고,2분기에는 1조원 미만의 이익을 낼 것으로 전망되는 등 한계에 봉착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3분기 이후 실적개선이 예상되지만 그 폭은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여기에 삼성SDI는 PDP패널 및 브라운관 사업이 성장한계에 봉착했고,삼성코닝 역시 최근 일부 브라운관용 기판유리 생산라인을 철수시키는 등 한계에 다다랐다는 점도 이번 조치가 나온 배경이다.
이들 2개사는 이미 그룹 차원의 경영진단을 받은 상태에서 인력 구조조정과 함께 일부 수익성이 떨어지는 지방 사업장을 철수하는 방안까지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이들 회사 외에 다른 계열사의 실적은 좋은 편이다.
삼성전기는 올 들어 흑자전환을 이루고 있고 삼성테크윈도 흑자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삼성중공업 삼성엔지니어링 삼성물산 삼성생명 삼성카드 등 비(非)전자계열사들도 견조한 실적을 기록 중이다.
하지만 이들 계열사 역시 향후 5년,10년 이후의 성장동력이 없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구조조정 딜레마 빠지나
이처럼 삼성이 그룹 차원에서 경쟁력 강화방안을 추진키로 함에 따라 관심은 과연 대대적인 인력 구조조정이 이뤄질 것인가에 쏠리고 있다.
일부 계열사들이 한계사업 축소에 나설 경우 인력 구조조정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다.
실제 연초부터 삼성 안팎에서는 실적이 부진한 전자 계열사를 중심으로 '임원 20% 감원' 등 인력 감축설이 나돌았었다.
특히 지난 4월과 5월 삼성SDI가 그룹 차원의 경영진단을 받고 삼성전자의 정보통신총괄과 국내영업사업부도 경영진단을 받으면서 이 같은 가능성에 무게가 실렸었다.
하지만 삼성은 이날 "대대적인 인력 감축 계획은 없다"고 못박았다.
그룹 관계자는 "외환위기 때 실시한 구조조정 당시에도 그런 정도의 인원감축은 하지 않았다"며 "삼성그룹 금융계열사나 중공업 등 대부분의 계열사는 실적이 상당히 좋은 만큼 그룹차원에서 대규모 구조조정을 해야 할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경영실적이 극히 부진한 계열사의 경우 최고경영자(CEO)의 판단 아래 감원이 일부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고 밝혀 일부 계열사에서는 인력 구조조정(감축 또는 재배치)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