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베어스턴스의 헤지펀드 청산 위기로 서브프라임 모기지 문제가 다시 한번 세계 증시의 리스크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사태가 경제 전체나 투자심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분석이다.

28일 대우증권 박중제 연구원은 "이전에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연체율 상승에 따른 모기지 업체들의 위기가 문제였지만 이번엔 자산담보부채권 시장 악화에 따른 투자은행들의 위기"라고 설명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연체율이 계속 높아지고 있어 모기지 담보채권 등 헤지펀드들의 투자 대상이 되는 자산담보부채권의 가격이 추가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박 연구원은 "베어스턴스가 상대적으로 공격 성향이 높았다는 점에서 심각한 투자 위기의 발생은 일부 펀드에 제한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서브프라임 모기지 연체율 역시 인하된 시중금리를 반영하며 점차 안정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그는 "과거 경험 등에 비춰볼 때 주요 투자은행들이 원금 보전을 위해 동시에 신용 회수에 나설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면서 "상황이 추가로 악화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베어스턴스 문제로 투자자들의 리스크 선호도가 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지만 이 역시 기우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박 연구원은 "따라서 이번 사태가 시장이나 투자심리에 미칠 부정적 영향은 제한적"이라면서 "다만 시중금리가 인플레를 반영해 장기 추세선상에서 반등할 경우엔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강지연 기자 sere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