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나 공공기관 등에 납품하는 중소기업들의 절반은 지난해 말 완전 폐지된 단체수의계약 때보다 10% 이상 인하된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단체수의계약 대체제도인 '중소기업 간 경쟁입찰'에 참여하고 있는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해 28일 발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조사기업의 48.5%는 '단체수의계약제도 때보다 납품단가가 인하됐다'고 응답했다.

이들 기업의 평균 인하율은 12.3%로 조사됐다.

운송장비 제조업체인 A사는 "단체수의계약으로 납품하던 제품이 올해 중소기업 간 경쟁제품으로 지정되면서 납품단가가 20% 정도 하락해 공공조달에서는 거의 수익을 남기지 못하고 있다"며 "전체 매출액도 상반기에 7%가량 감소했다"고 밝혔다.

조사 기업의 50.0%는 '변동 없다',1.5%는 '상승했다'고 답했다.

정부는 단체수의계약제도를 폐지하고 경쟁입찰로 전환하면서 계약 품목에 중소기업만 참가할 수 있는 '중소기업 간 경쟁입찰'제도를 도입했다.

단체수의계약에서 예정가의 95~98% 선에서 결정되던 납품가격의 급격한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 낙찰가 하한선을 예정가의 85%로 정했다.

이번 조사 결과 중소기업 경쟁입찰의 절반가량은 낙찰가 하한선에서 결정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조사에서 중소기업들의 80.7%는 '중기 간 경쟁입찰'제도가 '중소기업 지원대책으로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또다른 공공구매 방식인 '다수공급자 계약제도'(MAS)에 대해서도 참여기업들의 52.1%가 '불만'이라고 응답했다.

주된 이유로 '낙찰 후 경쟁에 따른 가격 인하'를 꼽았다.

교통시설물 납품업체인 K사의 김모 사장은 "다수공급자계약제도 공급자 간 경쟁으로 납품가를 등록 당시 가격의 하한선인 15% 가까이 인하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송태형 기자 toughl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