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9일자) 미래사업 발굴 삼성만의 과제인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그룹이 갈수록 불확실해지는 경영환경과 계열사의 실적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인력재배치 및 사업조정 등 구조개편에 착수했다고 한다.
우리나라 간판 기업인 삼성의 구조개편은 전체 기업이 직면한 안팎의 여건이 생각보다 심각한 상황임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그 배경을 짐작하기는 어렵지 않다.
삼성은 핵심사업인 반도체의 실적부진과 PDP(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등의 성장한계 직면,계열사 전반의 성장동력 부재 등 내부 환경이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는데도,미래 수익원이 될만한 신수종(新樹種)사업 발굴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딜레마에 빠진 실정이다.
게다가 대외환경마저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지경으로 치닫고 있는 것이다. 국제 유가는 끊임없이 오르고,달러 및 엔화에 대한 원화 환율은 바닥을 모른 채 하락세를 지속함으로써 수출경쟁력에 결정적 타격을 입히고 있다.
문제는 이 같은 경영환경 악화가 삼성만의 일이 아니라 우리 기업 모두가 당면한 현실이라는 점이다.
유가 및 환율 등 대외여건 외에 상품 경쟁력에서 미국 일본 등은 앞서 가는데 중국이 바짝 추격해오는 등 '샌드위치' 위기가 심화되고 있음은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다.
이미 우리 경제의 성장엔진이 식어가고 저성장 추세가 고착화되고 있는데도 정부는 단기 경제지표의 개선이나 주식시장 활황만을 보고 경기회복에 대한 낙관론에 파묻혀 있는 것은 더욱 심각한 문제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 점에서 삼성의 인력 및 사업구조 조정은 그 자체가 우리 경제의 한계적 상황을 여실히 설명하고 있다.
우선적으로 기업 스스로의 생존을 위한 경쟁력 강화방안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미래 성장동력 발굴을 지원하는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과 기업환경개선이 시급한 이유다.
무엇보다 기업들이 마음놓고 투자할 수 있는 시장친화적 규제개혁과 노사관계 혁신이 최우선적인 과제다. 정부는 기업에 규제의 틀을 근본적으로 바꿔 글로벌 경쟁환경에 맞는 정책기조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지난 25일 정부가 내놓은 기업환경개선 대책도 산업계 전반의 투자유인책으로는 크게 미흡(未洽)하고 특정 기업이나 지역의 애로를 해소하는 미세조정에 그쳤음을 생각할 때 더욱 그렇다.
보다 과감한 근본적인 규제개혁을 통해 기업활동의 자유도를 획기적으로 높이지 않으면 안된다.
우리나라 간판 기업인 삼성의 구조개편은 전체 기업이 직면한 안팎의 여건이 생각보다 심각한 상황임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그 배경을 짐작하기는 어렵지 않다.
삼성은 핵심사업인 반도체의 실적부진과 PDP(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등의 성장한계 직면,계열사 전반의 성장동력 부재 등 내부 환경이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는데도,미래 수익원이 될만한 신수종(新樹種)사업 발굴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딜레마에 빠진 실정이다.
게다가 대외환경마저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지경으로 치닫고 있는 것이다. 국제 유가는 끊임없이 오르고,달러 및 엔화에 대한 원화 환율은 바닥을 모른 채 하락세를 지속함으로써 수출경쟁력에 결정적 타격을 입히고 있다.
문제는 이 같은 경영환경 악화가 삼성만의 일이 아니라 우리 기업 모두가 당면한 현실이라는 점이다.
유가 및 환율 등 대외여건 외에 상품 경쟁력에서 미국 일본 등은 앞서 가는데 중국이 바짝 추격해오는 등 '샌드위치' 위기가 심화되고 있음은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다.
이미 우리 경제의 성장엔진이 식어가고 저성장 추세가 고착화되고 있는데도 정부는 단기 경제지표의 개선이나 주식시장 활황만을 보고 경기회복에 대한 낙관론에 파묻혀 있는 것은 더욱 심각한 문제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 점에서 삼성의 인력 및 사업구조 조정은 그 자체가 우리 경제의 한계적 상황을 여실히 설명하고 있다.
우선적으로 기업 스스로의 생존을 위한 경쟁력 강화방안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미래 성장동력 발굴을 지원하는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과 기업환경개선이 시급한 이유다.
무엇보다 기업들이 마음놓고 투자할 수 있는 시장친화적 규제개혁과 노사관계 혁신이 최우선적인 과제다. 정부는 기업에 규제의 틀을 근본적으로 바꿔 글로벌 경쟁환경에 맞는 정책기조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지난 25일 정부가 내놓은 기업환경개선 대책도 산업계 전반의 투자유인책으로는 크게 미흡(未洽)하고 특정 기업이나 지역의 애로를 해소하는 미세조정에 그쳤음을 생각할 때 더욱 그렇다.
보다 과감한 근본적인 규제개혁을 통해 기업활동의 자유도를 획기적으로 높이지 않으면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