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인생] 건강칼럼 : 뭉툭한 이물질은 대부분 대변으로 배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소화기관인 위(胃)는 영어로 'stomach'인데 "온갖 오욕을 참는다"는 어원에서 비롯됐다.
위는 하루 세 끼 이외에도 간식과 술,야식으로 먹은 짜고 맵고 시고 부드럽고 딱딱하고 독한 음식물 등을 감내한다.
잘게 부수어주고 소화되기 쉽도록 반죽해주는 게 위의 역할이다.
그런 위가 잘못 삼킨 이물질로 다시 한 번 고생을 하고 있다.
소화기내과 전문의로 30여년간 일해온 필자는 별의별 이물을 제거해 오면서 다양한 소회를 느끼고 있다.
위에 들어가는 이물질은 나이에 따라 다양하다.
10세 미만의 어린이가 삼키는 물건은 동전(특히 10원짜리)이 가장 많고 구슬 바둑알 건전지 머리핀 등도 흔하다.
동전은 둥글고 끝이 뭉뚝해 위장 벽을 손상시키지 않고 1∼2주 내에 대변으로 배설되므로 대개는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20∼30대 젊은층에서는 칫솔 포크 칼 시계 옷핀 안전핀 등의 이물질이 주로 발견된다.
이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포크를 아주 힘들게 제거한 것이다.
포크는 크기가 커 위 속에서 상하 위치를 돌릴 수 없어 그대로 빼내야만 했다.
그러나 포크의 날카로운 부위가 식도에 걸려 도저히 꺼낼 수 없었다.
그래서 고무장갑의 엄지손가락 부위를 잘라 내시경 끝부분에 부착시켜 날카로운 부분을 덮은 다음 서서히 좁은 식도공간을 빠져 나오도록 했다.
이후에는 이런 이물을 제거하는데 콘돔을 자주 활용하고 있다.
연령대가 더 높아지면 생선가시가 문제가 된다.
특히 대구나 복어처럼 납작하고 날카로운 가시나 뼈가 문제를 일으킨다.
가시는 시간이 지나면 식도에 박혀 심한 출혈이나 궤양 천공이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가시 제거에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칫솔은 크고 길지만 끝이 부드러워 꺼내는 것은 오히려 수월한 편이다.
60대 이후는 틀니가 빠져 식도나 위에 걸리거나,치아가 좋지 않아 잘 씹히지 않는 굵은 고깃덩어리와 도가니탕의 연골 등이 식도에 걸려 응급실로 오기도 한다.
과거에는 큰 이물이 위나 식도에 들어간 경우 개복 또는 개흉 수술을 해야 했다.
그러나 지금은 대부분의 이물을 내시경으로 간단히 제거할 수 있게 됐다.
내시경만으로 안될 때에는 이물을 제거하는 몇가지 전용도구를 응용하고,이것으로도 불가능할 경우에는 순발력과 번뜩이는 아이디어로 도구를 자체 제작하고 있다.
어린아이들이 부주의로 이물질을 삼킨 경우 부모들은 너무 당황하지 말고 노련한 소화기내과 전문의가 있는 병원을 찾는 게 좋다.
특히 날카롭지 않은 이물질은 대부분 대변으로 배출되므로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아울러 요즈음 웰빙음식으로 생선을 즐겨먹는데 굵은 생선가시를 삼키지 않도록 천천히 먹는 식사습관을 가져야 하겠다.
위는 하루 세 끼 이외에도 간식과 술,야식으로 먹은 짜고 맵고 시고 부드럽고 딱딱하고 독한 음식물 등을 감내한다.
잘게 부수어주고 소화되기 쉽도록 반죽해주는 게 위의 역할이다.
그런 위가 잘못 삼킨 이물질로 다시 한 번 고생을 하고 있다.
소화기내과 전문의로 30여년간 일해온 필자는 별의별 이물을 제거해 오면서 다양한 소회를 느끼고 있다.
위에 들어가는 이물질은 나이에 따라 다양하다.
10세 미만의 어린이가 삼키는 물건은 동전(특히 10원짜리)이 가장 많고 구슬 바둑알 건전지 머리핀 등도 흔하다.
동전은 둥글고 끝이 뭉뚝해 위장 벽을 손상시키지 않고 1∼2주 내에 대변으로 배설되므로 대개는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20∼30대 젊은층에서는 칫솔 포크 칼 시계 옷핀 안전핀 등의 이물질이 주로 발견된다.
이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포크를 아주 힘들게 제거한 것이다.
포크는 크기가 커 위 속에서 상하 위치를 돌릴 수 없어 그대로 빼내야만 했다.
그러나 포크의 날카로운 부위가 식도에 걸려 도저히 꺼낼 수 없었다.
그래서 고무장갑의 엄지손가락 부위를 잘라 내시경 끝부분에 부착시켜 날카로운 부분을 덮은 다음 서서히 좁은 식도공간을 빠져 나오도록 했다.
이후에는 이런 이물을 제거하는데 콘돔을 자주 활용하고 있다.
연령대가 더 높아지면 생선가시가 문제가 된다.
특히 대구나 복어처럼 납작하고 날카로운 가시나 뼈가 문제를 일으킨다.
가시는 시간이 지나면 식도에 박혀 심한 출혈이나 궤양 천공이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가시 제거에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칫솔은 크고 길지만 끝이 부드러워 꺼내는 것은 오히려 수월한 편이다.
60대 이후는 틀니가 빠져 식도나 위에 걸리거나,치아가 좋지 않아 잘 씹히지 않는 굵은 고깃덩어리와 도가니탕의 연골 등이 식도에 걸려 응급실로 오기도 한다.
과거에는 큰 이물이 위나 식도에 들어간 경우 개복 또는 개흉 수술을 해야 했다.
그러나 지금은 대부분의 이물을 내시경으로 간단히 제거할 수 있게 됐다.
내시경만으로 안될 때에는 이물을 제거하는 몇가지 전용도구를 응용하고,이것으로도 불가능할 경우에는 순발력과 번뜩이는 아이디어로 도구를 자체 제작하고 있다.
어린아이들이 부주의로 이물질을 삼킨 경우 부모들은 너무 당황하지 말고 노련한 소화기내과 전문의가 있는 병원을 찾는 게 좋다.
특히 날카롭지 않은 이물질은 대부분 대변으로 배출되므로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아울러 요즈음 웰빙음식으로 생선을 즐겨먹는데 굵은 생선가시를 삼키지 않도록 천천히 먹는 식사습관을 가져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