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 파생상품' 거래 활성화 방안 마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감독위원회는 1일 신용파생상품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 개선 방안을 하반기 중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회계처리 기준을 바꾸고 신고 부담을 덜어주는 게 핵심이다.
우선 금융회사가 회계처리할 때 지금은 신용파생상품을 '지급 보증'으로 처리하고 있지만 이를 별도의 '파생상품'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회계 기준을 변경할 예정이다.
파생상품으로 회계처리하면 시가로 평가하고 지급보증과 달리 대손충당금을 쌓지 않아도 된다. 금감위는 이와 함께 금융회사가 외화표시 신용파생상품 거래를 할 때 건별로 한국은행에 사전 신고해야 하는 것을 사후신고제로 전환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금감위는 또 금융회사의 신용파생상품 거래 한도를 설정하고 거래 참여자들의 신용정보 공유를 통해 거래 위험 등을 사전에 알림으로써 신용파생상품 거래를 투명하게 하는 제도 도입도 검토 중이다.
작년 말 현재 국내 금융회사의 신용파생상품 거래 잔액은 4조3000억원으로 전체 파생상품 잔액의 0.16%,미국 상업은행 신용파생상품 잔액의 0.02%에 불과하다.
금감위 관계자는 "신용파생상품은 대출 채권 회사채 등과 같은 금융자산에 내재해 있는 신용 위험을 분리해 매매하는 상품"이라며 "이를 통해 금융회사들이 신용위험을 분산해 관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용준 기자 junyk@hankyung.com
회계처리 기준을 바꾸고 신고 부담을 덜어주는 게 핵심이다.
우선 금융회사가 회계처리할 때 지금은 신용파생상품을 '지급 보증'으로 처리하고 있지만 이를 별도의 '파생상품'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회계 기준을 변경할 예정이다.
파생상품으로 회계처리하면 시가로 평가하고 지급보증과 달리 대손충당금을 쌓지 않아도 된다. 금감위는 이와 함께 금융회사가 외화표시 신용파생상품 거래를 할 때 건별로 한국은행에 사전 신고해야 하는 것을 사후신고제로 전환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금감위는 또 금융회사의 신용파생상품 거래 한도를 설정하고 거래 참여자들의 신용정보 공유를 통해 거래 위험 등을 사전에 알림으로써 신용파생상품 거래를 투명하게 하는 제도 도입도 검토 중이다.
작년 말 현재 국내 금융회사의 신용파생상품 거래 잔액은 4조3000억원으로 전체 파생상품 잔액의 0.16%,미국 상업은행 신용파생상품 잔액의 0.02%에 불과하다.
금감위 관계자는 "신용파생상품은 대출 채권 회사채 등과 같은 금융자산에 내재해 있는 신용 위험을 분리해 매매하는 상품"이라며 "이를 통해 금융회사들이 신용위험을 분산해 관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용준 기자 juny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