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은 지난 29일,30일 개성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에서 실무 접촉을 갖고 대북 중유 5만t의 인도·인수 절차를 합의했다.

남측이 유황 성분 2.5%의 중유 5만t을 해로로 북측에 제공하고 △첫 배는 인도·인수절차를 합의한 날 이후 2주 내에 출항시키기로 했으며 △첫 배가 출발한 뒤 20일 이내에 중유 5만t 출항을 모두 완료하도록 최대한 노력한다는 내용이다.

통일부는 이 같은 합의 결과를 국회에 보고한 뒤 남북교류협력추진위원회를 열어 중유 제공이 지연되면서 발생한 추가 비용에 대한 남북협력기금 지원을 의결할 계획이다.

통일부는 지난 2월 말 대북 중유 지원용 219억원을 협력기금에서 의결하고 정유사와 구입계약을 맺었다.

하지만 방코델타아시아(BDA) 북한자금 이체 문제로 북측의 2·13 합의 이행이 늦어지는 바람에 22억원의 추가 비용만 물고 계약을 해지한 바 있다.

정부 당국자는 "그동안 중유 값이 올랐고 북측이 요구한 품질의 중유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가공 비용도 추가로 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추가비용은 65억∼66억원 정도인 것으로 전해졌다.

남측은 6자회담 2·13 합의 때 북측이 핵폐기 초기 조치를 이행하면 상응 조치로 중유 5만t을 제공키로 약속했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북측은 중유 북송 시점인 14일을 전후해 영변 핵시설 폐쇄작업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14일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의 방북 시점과도 얼추 겹친다.

IAEA는 지난달 30일까지 4박5일간 방북을 마치고 돌아온 실무대표단의 보고를 바탕으로 9일께 특별이사회를 열어 곧바로 북핵 사찰단을 파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올리 하이노넨 IAEA 실무대표단 단장은 지난 30일 "북한과 영변 핵시설의 폐쇄·봉인을 검증하는 방식에 합의했다"며 "북한이 영변 핵시설을 폐쇄하는 시점은 6자회담 참가국이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