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혜민 외교통상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기획단장은 "쇠고기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미 의회 내에서 한·미 FTA가 원만하게 다뤄지기 힘들 것"이라고 3일 밝혔다.

이 단장은 이날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이같이 말했다.

현재 정부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개를 위한 절차를 진행하고 있어 오는 9월이면 뼈를 포함한 쇠고기의 수입이 전면 재개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단장은 전문직 비자 쿼터와 관련,"미 의회 소관이어서 정부가 미 의회와 직접 협의할 생각"이라며 "한·미 FTA가 미·호주 FTA보다 교역 등에서 규모가 크기 때문에 호주보다는 많이 받아야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호주는 미국으로부터 1만500개의 전문직 비자 쿼터를 받았다.

미 의회의 비준 전망에 대해 그는 "미국 내 절차 등을 고려하면 9월 말 이후 검토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며 "미 의회는 기본적으로 미 행정부가 책임지고 설득해야 하지만 이 과정에서 필요하다면 (우리 정부가) 우리 의회나 한·미 재계 창구를 통해 협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단장은 국내 비준에 대해선 "한·미 FTA의 혜택을 위해서는 조기에 발효하는 것이 중요해 비준동의안을 9월 국회에 제출할 생각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미국의 34개 농민단체 연합은 의회에 서한을 보내 한·미 FTA 비준을 촉구했다고 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미국대두농업협회 전미돈육생산자위원회 전미옥수수재배자협회 등은 서한에서 "한·미 FTA가 의회의 비준을 받지 못할 경우 한국에 대한 수출이 크게 늘어날 기회를 놓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소사육농가협회(R-CALF)는 한.미 FTA 반대 성명을 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