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콘, 이번엔 건설사와 가격마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석회석·유연탄 등 기초 건설자재의 수입가격 급등이 국내 건설관련 시장에 자재값 인상 '도미노 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이 자재들이 국내 시멘트값을 끌어올린 데 이어 시멘트를 원료로 쓰는 레미콘업계가 건설업계를 대상으로 레미콘가 인상을 요구하고 나선 까닭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시멘트업체들의 요구에 따라 벌크시멘트 납품가를 인상해 줬던 레미콘업체들은 최근 주요 건설사들에 7월분 레미콘 공급물량부터 납품가를 10% 인상해 줄 것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건설업체들은 "2~3% 수준 이상은 올려줄 수 없다"고 밝혀 앞으로 레미콘업계와 건설업계가 가격 인상을 놓고 갈등을 빚을 전망이다.
레미콘공업협회는 "벌크시멘트 가격이 ㎥당 7000원 인상되고 모래와 자갈 등 골재값도 ㎥당 800원씩 오르는 등 레미콘 원가가 지난해보다 7.6%가량 올라 경영 압박이 심각해 10%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레미콘 협회 소속사 중 서울 경기 등 수도권 소재 120여개 업체들은 요구조건이 수용되지 않으면 집단휴업에 나서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건설업계 측은 "분양가 상한제 도입 등으로 건설업계 역시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어 레미콘업계의 인상 요구를 전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
5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시멘트업체들의 요구에 따라 벌크시멘트 납품가를 인상해 줬던 레미콘업체들은 최근 주요 건설사들에 7월분 레미콘 공급물량부터 납품가를 10% 인상해 줄 것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건설업체들은 "2~3% 수준 이상은 올려줄 수 없다"고 밝혀 앞으로 레미콘업계와 건설업계가 가격 인상을 놓고 갈등을 빚을 전망이다.
레미콘공업협회는 "벌크시멘트 가격이 ㎥당 7000원 인상되고 모래와 자갈 등 골재값도 ㎥당 800원씩 오르는 등 레미콘 원가가 지난해보다 7.6%가량 올라 경영 압박이 심각해 10%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레미콘 협회 소속사 중 서울 경기 등 수도권 소재 120여개 업체들은 요구조건이 수용되지 않으면 집단휴업에 나서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건설업계 측은 "분양가 상한제 도입 등으로 건설업계 역시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어 레미콘업계의 인상 요구를 전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