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란합니다. 카메라를 보면 노조가 싫어해서요. 노동조합이 허락해줘야 하는데 아무래도 그게 좀 어려울 것 같습니다."(기아자동차 관계자)

"현대자동차 같은 데도 최소한 문은 열어주는데, 노조 눈치를 너무 보는 게 아닌가요?"(기자)

"우리도 어쩔 수 없습니다. 노조의 성격이 워낙…."(기아차 관계자)

"사진 취재요? 우리는 언론사 취재에 응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지금 바쁘거든요. 더이상 말할 게 없네요."(노조 관계자)

6일 오후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기아차 소하리공장 정문앞. 기아차 노조의 파업을 취재하기 위해 현장에 도착한 사진기자들은 기아차 노사간의 묘한 협력 분위기에 황당함을 감출 수 없었다.

"세상에 파업취재 못하게 하는 데가 어디 있습니까. 파업이 뭐 부부싸움도 아니고…."

정문앞에서 기다리던 사진기자들은 볼멘소리를 터뜨렸다.

임금협상이 뜻대로 안되자 기아차 노조는 6일 부분파업에 들어갔다. 이에 대해 회사 측은 이번 파업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노조 지도부를 업무방해 혐의로 경찰에 고소하는 등 법적 대응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어 기자들은 당연히 정문을 통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었다.

하지만 현장에서 회사 측이 보여준 태도는 언론에 이미 밝힌 '강경방침'이 '대외용'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들게 했다. 어떤 파업 현장도 단지 노조가 싫어한다는 이유로 사진기자들의 접근을 막는 경우는 없었기 때문이다.

기아차의 파업은 단순한 '가정불화'가 아니다. 기아차가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영향력을 생각해 볼 때 합법이든 불법이든 파업에 돌입하는 순간 이미 사회적 이슈인 것이다. 따라서 현장의 기록자인 사진기자에게 파업 장면을 공개하는 것은 회사나 노조의 허락을 받아야 하는 차원을 떠난 문제다.

"기자양반들,정문 앞에 서 있으면 안돼요.

길건너 편으로 가세요.우리들 입장이 있어서 여기는 안된다니까요."

기자들이 근처에 있는 것 자체만으로도 곤란해 진다는 경비직원들의 말이 기아차가 반복적인 파업에 시달리는 이유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었다.

김병언 영상정보부 기자 misa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