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보상제도 개선방안] 올해와 내년에만 47조 풀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참여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각종 국책사업에 따라 올해와 내년에만 47조원가량의 토지보상금이 풀릴 전망이다.
참여정부가 출범한 2003년부터 계산하면 보상금은 모두 114조원 정도나 된다.
6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올 하반기부터 10개 혁신도시를 비롯 6개 기업도시와 7개 신도시 등에서 토지보상이 실시될 예정이다.
우선 혁신도시의 경우 제주에서 처음으로 이날부터 보상이 시작됐다.
사업시행자인 대한주택공사는 1140억원 규모의 보상금을 지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어 대구·광주(전남)·울산·강원·충북·전북·경북·경남 등 9개 혁신도시의 보상 절차가 연내에 추진될 예정이다.
이들 10개 혁신도시의 토지보상금은 총 4조5000억원 정도로 추산된다.
수도권 2기 신도시에 대한 토지보상 작업도 본격화된다.
작년 12월부터 보상이 시작된 김포신도시에서는 2조원가량의 보상금 지급이 조만간 마무리 될 예정이다.
연말에는 송파신도시와 양주신도시에서 각각 1조5000억원,1조2000억원 규모의 토지보상이 실시된다.
송파신도시는 서울에 가깝지만,부지 205만평 대부분이 국방부 소유이고,사유지는 36만평에 불과해 다른 신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상금액이 적은 편이다.
내년에는 3월에 5조원 규모로 추산되는 검단신도시 보상을 시작으로 △5월 동탄2신도시(6조원) △9월 파주 3단계(3조3000억원) 및 평택(3조원) 등에서 거액의 보상금이 잇따라 풀릴 예정이다.
올해와 내년 신도시에서 지급되는 보상금만 22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 기업도시는 지난 4월 개발계획 승인이 떨어진 원주와 충주가 조만간 보상에 착수한다.
이어 무주,무안기업도시도 개발계획 승인이 임박해 곧바로 보상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태안 기업도시는 대부분 사업시행자인 현대건설이 소유한 땅이어서 토지보상금이 많지 않다.
영암은 사업추진 속도가 늦어 내년 상반기에나 보상이 가능하다는 게 건교부의 설명이다.
이들 6개 기업도시의 보상금액을 합치면 3조원 정도가 될 전망이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
참여정부가 출범한 2003년부터 계산하면 보상금은 모두 114조원 정도나 된다.
6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올 하반기부터 10개 혁신도시를 비롯 6개 기업도시와 7개 신도시 등에서 토지보상이 실시될 예정이다.
우선 혁신도시의 경우 제주에서 처음으로 이날부터 보상이 시작됐다.
사업시행자인 대한주택공사는 1140억원 규모의 보상금을 지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어 대구·광주(전남)·울산·강원·충북·전북·경북·경남 등 9개 혁신도시의 보상 절차가 연내에 추진될 예정이다.
이들 10개 혁신도시의 토지보상금은 총 4조5000억원 정도로 추산된다.
수도권 2기 신도시에 대한 토지보상 작업도 본격화된다.
작년 12월부터 보상이 시작된 김포신도시에서는 2조원가량의 보상금 지급이 조만간 마무리 될 예정이다.
연말에는 송파신도시와 양주신도시에서 각각 1조5000억원,1조2000억원 규모의 토지보상이 실시된다.
송파신도시는 서울에 가깝지만,부지 205만평 대부분이 국방부 소유이고,사유지는 36만평에 불과해 다른 신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상금액이 적은 편이다.
내년에는 3월에 5조원 규모로 추산되는 검단신도시 보상을 시작으로 △5월 동탄2신도시(6조원) △9월 파주 3단계(3조3000억원) 및 평택(3조원) 등에서 거액의 보상금이 잇따라 풀릴 예정이다.
올해와 내년 신도시에서 지급되는 보상금만 22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 기업도시는 지난 4월 개발계획 승인이 떨어진 원주와 충주가 조만간 보상에 착수한다.
이어 무주,무안기업도시도 개발계획 승인이 임박해 곧바로 보상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태안 기업도시는 대부분 사업시행자인 현대건설이 소유한 땅이어서 토지보상금이 많지 않다.
영암은 사업추진 속도가 늦어 내년 상반기에나 보상이 가능하다는 게 건교부의 설명이다.
이들 6개 기업도시의 보상금액을 합치면 3조원 정도가 될 전망이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