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또 2151명 증원 ‥ 올들어 1만2천여명 늘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세청이 2000명가량의 공무원을 새로 충원하기로 하는 등 임기 말 각 정부 부처가 '몸집 불리기'에 본격 나섰다.
이에 따라 올 들어 증원이 확정된 국가공무원 수만 1만2393명에 달해 당초 계획보다 2000명 이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정부는 10일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고 재정경제부 교육인적자원부 보건복지부 국세청 등 4개 부처 공무원 2151명을 늘리는 내용의 직제·증원 개편안을 의결했다.
부처별로는 국세청이 1998명으로 가장 많고 복지부 113명,교육부 35명,재경부 5명 등이다.
국세청의 경우 2009년부터 시행하는 '근로장려세제'(EITC) 업무에 투입할 인력으로 1798명을 책정했다.
또 양도세 실거래가 조사인력 보강을 위해 194명,국세통계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6명의 공무원을 각각 증원하기로 했다.
이번 인력 증가로 국세청 전체 인력은 1만8804명에서 2만802명으로 늘어나 처음으로 2만명을 돌파했다.
복지부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른 후속조치 등 국제협력 업무를 위한 국제협력관을 신설하고 의료 서비스를 강화한다는 이유로 113명을 늘렸다.
교육부도 인적자원정책본부 등을 신설하면서 증원이 확정됐다.
이번 신규 증원 결정으로 올 들어 이날 현재까지 새로 늘어난 행정부 공무원 수는 지방자치단체 등의 지방공무원을 빼고도 1만2393명에 이른다고 행정자치부는 밝혔다.
이는 행자부가 지난해 세운 올해 국가공무원 증가 예상 인력 1만명을 훨씬 넘어선 것이다.
교사와 경찰을 중심으로 필요 인력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데다 국세청의 근로장려세제 도입으로 예기치 못한 증원 요인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행자부는 설명했다.
김철수 기자 kcsoo@hankyung.com
이에 따라 올 들어 증원이 확정된 국가공무원 수만 1만2393명에 달해 당초 계획보다 2000명 이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정부는 10일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고 재정경제부 교육인적자원부 보건복지부 국세청 등 4개 부처 공무원 2151명을 늘리는 내용의 직제·증원 개편안을 의결했다.
부처별로는 국세청이 1998명으로 가장 많고 복지부 113명,교육부 35명,재경부 5명 등이다.
국세청의 경우 2009년부터 시행하는 '근로장려세제'(EITC) 업무에 투입할 인력으로 1798명을 책정했다.
또 양도세 실거래가 조사인력 보강을 위해 194명,국세통계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6명의 공무원을 각각 증원하기로 했다.
이번 인력 증가로 국세청 전체 인력은 1만8804명에서 2만802명으로 늘어나 처음으로 2만명을 돌파했다.
복지부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른 후속조치 등 국제협력 업무를 위한 국제협력관을 신설하고 의료 서비스를 강화한다는 이유로 113명을 늘렸다.
교육부도 인적자원정책본부 등을 신설하면서 증원이 확정됐다.
이번 신규 증원 결정으로 올 들어 이날 현재까지 새로 늘어난 행정부 공무원 수는 지방자치단체 등의 지방공무원을 빼고도 1만2393명에 이른다고 행정자치부는 밝혔다.
이는 행자부가 지난해 세운 올해 국가공무원 증가 예상 인력 1만명을 훨씬 넘어선 것이다.
교사와 경찰을 중심으로 필요 인력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데다 국세청의 근로장려세제 도입으로 예기치 못한 증원 요인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행자부는 설명했다.
김철수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