넉 달이나 정체됐던 '한반도 평화 체제'계획에도 다시 청신호가 켜졌다.
6자 회담은 '비핵화 진전-남·북·미·중 평화 체제 논의-북·미 관계 정상화-남북(미·중)정상회담과 종전 선언'이라는 참여정부의 계획표 첫 머리에 있다.
6자회담을 통해 비핵화를 진전시키지 못하면 북·미 관계 정상화나 평화 체제가 불가능하다.
정부 임기가 6개월밖에 안 남았다는 점에서 정부 당국자들은 한때 "갈 길은 먼데 서산에 해는 지고…"라는 농담을 하기도 했다.
이번 6자회담에서 당장 성과를 기대하긴 어렵다.
정부 당국자는 "회담의 모멘텀을 살리고 본격적인 협상에 앞서 입장을 교환하자는 의미"라고 말했다.
게다가 6개국 100여명이 만나는 본회담이 아니라 5~6명씩만 모이는 수석대표 회의이고,기간도 2~3일밖에 안 된다.
비핵화 협상의 다음 과제는 북한의 핵물질 신고와 핵시설 불능화다.
미국은 물질 신고에 대해 테러지원국 해제를,시설 불능화에 대해 적성국 교역법 적용 중단 등을 보상 카드로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지영 기자 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