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12일 콜금리 인상을 단행함에 따라 가뜩이나 침체된 부동산 시장은 더욱 얼어붙을 전망이다.

현재도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대출 규제로 주택 거래가 끊겨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금리마저 올라 대출을 끼고 집을 산 사람들의 고통은 더 커지게 됐다.

스피드뱅크 박원갑 소장은 "금리는 집값과 반비례 관계에 있다"며 "지난해 집값 상승기에 무리하게 대출을 끼고 집을 산 사람들은 이자 부담이 커진 반면 집값은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있어 이들의 박탈감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더욱이 올들어 종합부동산세, 양도세 등 부동산 관련 세금 부담이 늘어난 상태에서 대출 이자까지 증가해 공시가격 6억원 이상 주택의 거래는 더욱 힘들어질 전망이다.

휴앤파트너스 박순신 사장은 "최근 집값 안정세는 분양가 상한제 뿐 아니라 대출 규제로 인해 돈줄을 죈 영향도 크다"며 "서민은 물론 중산층도 돈을 빌려 집사기가 더욱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연내 집을 팔거나 원금을 상환해야 하는 복수 대출자의 이자 부담이 커지며 매물을 내놓는 속도를 가속화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특히 재건축 아파트와 같은 투자형 부동산이나 상가 등 수익형 상품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보인다.

우리은행 안명숙 부동산 팀장은 "수익형 부동산은 적정 수익률의 비교 대상이 시중 금리였기 때문에 금리가 계속 상승한다면 이들 상품의 투자 수요가 감소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분양시장에도 타격이 크다.

중도금 대출 이자가 오르기 때문에 특히 분양경기가 침체된 지방의 경우 새 아파트 분양에 더욱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내외주건 김신조 사장은 "아파트 분양 계약자의 상당수가 대출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자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며 "분양성 제고를 위해 중도금 무이자, 이자 후불제 등을 실시한 건설회사의 금융 부담도 더 커지게 됐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금리 인상으로 인해 집값이 폭락하거나 매물이 크게 늘어나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국민은행 박합수 부동산팀장은 "금리 인상은 어느 정도 예견돼왔기 때문에 시장 충격은 생각보다 크지 않을 것"이라며 "집값 하락에 영향을 미칠 수준은 아니고, 투자심리가 위축되는 효과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sm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