工大 산업기여도 평가 … 전자ㆍ조선공학과 시범 실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어느 공과대학이 산업 발전에 얼마나 기여했는지에 대한 산업계의 평가가 오는 11월에 처음으로 발표된다.
또 정부 산업계 학계 등이 함께 참여,공학교육의 중장기 비전과 정책을 제시할 공학교육혁신위원회가 발족했다.
산업자원부는 13일 서울 반포동 메리어트호텔에서 오영호 제1차관 서남표 KAIST총장 김도연 공학한림원 부회장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공과대학 혁신포럼 2007'에서 공대 산업기여도 평가 일정을 밝혔다.
산자부는 우선 전자공학과와 조선공학과에 대해 시범 평가를 실시,11월에 결과를 발표키로 했다.
주요 평가항목은 △해당 산업에서 요구하는 지식과 기술의 커리큘럼 반영 정도 △졸업생이 해당 과정을 얼마나 충실히 이행했는지 여부 △배출 인력에 대한 산업계의 만족도 등이다.
평가는 전자 및 조선의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가 중심이 돼서 이뤄지며 기업체의 기술 담당 임원과 부서장,졸업생 등이 참여한다.
산자부와 업계는 이를 위해 올 상반기에 공대 평가지표 및 모형 개발을 끝마쳤다.
공대의 산업기여도 평가는 올 하반기 시범평가를 시작으로 내년부터 기계 철강 반도체 등 주요 산업으로 확대되며,산업별로 3년 주기의 평가가 지속적으로 실시된다.
이날 행사에선 또 지난달 산자부가 선정한 전국 50개 대학의 공학교육혁신센터와 공학교육혁신위원회 출범식도 함께 열렸다.
공학교육혁신센터는 대학별 특성화 전략을 수립하고 산업계 지향적인 공학교육 프로그램을 주도하는 기구다.
공학교육혁신위원회는 대한상공회의소와 공학한림원(산업계),공과대학 학장협의회와 공학교육인증원(학계),산자부와 교육인적자원부(정부) 등이 참여하는 산·관·학 협의체다.
위원회는 분기별로 한 번씩 정기모임을 갖고 공학교육 혁신을 위한 중장기 비전과 정책을 제시할 예정이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
또 정부 산업계 학계 등이 함께 참여,공학교육의 중장기 비전과 정책을 제시할 공학교육혁신위원회가 발족했다.
산업자원부는 13일 서울 반포동 메리어트호텔에서 오영호 제1차관 서남표 KAIST총장 김도연 공학한림원 부회장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공과대학 혁신포럼 2007'에서 공대 산업기여도 평가 일정을 밝혔다.
산자부는 우선 전자공학과와 조선공학과에 대해 시범 평가를 실시,11월에 결과를 발표키로 했다.
주요 평가항목은 △해당 산업에서 요구하는 지식과 기술의 커리큘럼 반영 정도 △졸업생이 해당 과정을 얼마나 충실히 이행했는지 여부 △배출 인력에 대한 산업계의 만족도 등이다.
평가는 전자 및 조선의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가 중심이 돼서 이뤄지며 기업체의 기술 담당 임원과 부서장,졸업생 등이 참여한다.
산자부와 업계는 이를 위해 올 상반기에 공대 평가지표 및 모형 개발을 끝마쳤다.
공대의 산업기여도 평가는 올 하반기 시범평가를 시작으로 내년부터 기계 철강 반도체 등 주요 산업으로 확대되며,산업별로 3년 주기의 평가가 지속적으로 실시된다.
이날 행사에선 또 지난달 산자부가 선정한 전국 50개 대학의 공학교육혁신센터와 공학교육혁신위원회 출범식도 함께 열렸다.
공학교육혁신센터는 대학별 특성화 전략을 수립하고 산업계 지향적인 공학교육 프로그램을 주도하는 기구다.
공학교육혁신위원회는 대한상공회의소와 공학한림원(산업계),공과대학 학장협의회와 공학교육인증원(학계),산자부와 교육인적자원부(정부) 등이 참여하는 산·관·학 협의체다.
위원회는 분기별로 한 번씩 정기모임을 갖고 공학교육 혁신을 위한 중장기 비전과 정책을 제시할 예정이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