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값을 올리기 위한 방법이 갈수록 지능화돼 가고 있다.

직접적인 '가격 담합'은 단속 대상인 데다 부정적 인식이 확산되고 있어서다.

인천에서 순차적으로 대단지 아파트를 분양한 A사는 1차 단지의 분양 계약자들 때문에 애를 먹었다.

계약자들이 2차 단지의 분양가 인상을 노골적으로 요구했기 때문이다.

A사 관계자는 "2차 분양 아파트의 분양가를 높게 책정하면 8개월 전에 공급한 1차분 아파트값이 자연스럽게 올라가는 효과를 노린 것으로 보인다"고 털어놨다.

경기 수원시의 B아파트 주민들은 최근 단지 내에 소규모 영어마을을 유치키로 결정했다.

아이들이 단지 내에서 영어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특히 영어교육을 받을 자녀가 없는 주민들까지 일정 비용을 부담하면서 영어마을 유치에 적극적이었다는 후문이다.

서울 마포구의 C아파트는 입주한 지 3년이 채 안됐는데 외벽 도색 작업을 위한 준비가 한창이다.

새 아파트나 다름없는 아파트 외벽을 다시 페인트로 칠한다는 것은 이례적이다.

박상언 유엔알컨설팅 사장은 "일정 금액 이하로는 매물을 내놓지 말자는 현수막을 거는 것과 같은 아파트값 담합을 노골적으로 요구하는 방법은 한물 갔다"면서 "간접적인 방법으로 집값 상승을 유도하는 게 새 풍속도"라고 설명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