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3합의'이행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6자 수석대표회담이 18일 오후 3시30분(한국시간)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에서 개막됐다.

남·북한,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6자 수석대표들은 이날 전체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한 뒤 북핵 폐기를 위한 2단계 조치와 이행방안 논의에 착수했다.

특히 6자 대표들은 영변 핵시설 폐쇄의 후속조치로 북한의 모든 핵프로그램 신고 및 불능화 원칙에는 공감대를 형성했으나 구체적인 이행방안과 상응조치를 놓고 북한과의 이견조율에 나섰다.

미국 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는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대략 비슷한 위치에 있다"면서 "우리는 (핵시설 불능화와 모든 핵프로그램 신고 등) 2단계에서 해야 할 조치들을 연말을 전후해 마무리 짓자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남북 6자 수석대표인 천영우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김계관 외무성 부상은 이날 양자회동을 갖고 북측의 2·13합의 이행의지를 재확인한 뒤 '미국의 적당한 상응조치'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경천동지할 만한 (북한의) 요구가 없었다"고 말했다.

이같은 낙관적인 분위기에도 불구,구체적인 이행방안을 놓고선 북·미간 입장 차가 감지되고 있다.

핵프로그램 신고와 불능화의 우선순위를 놓고 북한은 '신고가 우선'이라고 주장하는 반면,한국과 미국은 이를 동시에 하자고 맞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 소식통은 "북한이 각 절차를 구분해 그때마다 보상을 더 챙기려는 협상전략일 수 있다"고 말했다.

불능화의 개념과 수준에 대한 입장 차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북한은 지난 14일 영변 핵시설을 폐쇄한 이후 기존에 합의한 중유(100만t) 제공 이외에 미국이 테러지원국 지정 명단과 적성국 교역법 적용을 해제해 달라는 정치적 상응조치를 요구해 왔다.

힐 차관보는 북한이 비핵화 조치를 취하는 수준을 보고 이를 적절하게 검토해보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베이징=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