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들은 공식 일정 마지막날인 19일 북한의 모든 핵 프로그램 신고와 불능화 시간표를 의장성명에 담아내기 위해 진통을 겪었다.

남·북한과 미·중·일·러 대표단은 이날 목표 시한을 놓고 합의에 이르지 못해 의장성명 초안만 잡고 회담을 20일까지 하루 연장했다.

참가국들은 20일 개략적인 내용의 의장성명을 채택한다.

미합의 의제는 8월 중 실무협의에서 결정하기로 했다.

늦어도 9월 초 전에 6자 외무장관 회담을 연다는 데도 합의했다.

◆20일 의장성명 발표

미국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는 이날 밤 숙소인 세인트 레지스 호텔로 돌아와 기자들에게 "의장국인 중국이 협의 내용을 담은 의장성명 초안을 각 참가국들에 회람시켰다"고 말했다.

힐 차관보는 의장성명 내용에 대해 "실무그룹 회의 일정과 6자 외무장관 회담 일정이 포함됐으나 핵 프로그램 신고 및 핵 시설 불능화 일정은 잡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의장성명에는 북한이 핵무기를 포함한 포괄적인 핵 프로그램 신고와 핵 시설 불능화에 나선다는 내용을 포함,6개국이 2·13합의의 남은 과제를 조속히 이행하겠다는 의지와 합의도 담을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전날 "핵무기까지 핵 프로그램 신고 대상에 넣겠다.

연내 이행할 수 있다"고 이례적인 적극성을 보였으나 의장성명에 시간표를 명기하는 것엔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2·13 합의 완전 이행" 재확인

정부 수석대표인 천영우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이날 협의에 대해 "성과지표를 만드는 데 중요한 기초였다"고 말했다.

"(일정에) 합의는 못했지만 불능화까지 가기 위해 2·13 합의의 완전한 이행 방안을 좀더 세부적으로 조율했다"는 것이다.

힐 차관보는 "실무그룹 회의에서 무엇을 논의해야 하는지 보다 명확히 알 수 있어 매우 유용했다"며 "최고의 회담"이었다고 평가했다.

힐 차관보는 경수로 문제도 거론됐다고 말했다.

경수로는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의 대가로 1990년대부터 집착해 온 대상이다.

힐 차관보는 "경수로 이야기가 몇 번 나오긴 했으나 그에 대한 토론을 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북한이 '연내 핵무기까지 신고'를 거론하며 전향적 태도를 보인 데 대해 미국도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전제로 '과감하고 포괄적인 경제·안보적 보상'을 다시 강조했다는 얘기도 협상장 주변에서 흘러나왔다.

북·미 간에는 힐 차관보의 지난 6월 방북을 계기로 핵·안보·경제 문제를 통 크게 다루는 '포괄적 해결' 방식이 논의되고 있다.

◆8월 말까지 불능화 시간표 도출

6자회담 참가국들은 이번 회기에서 결론 못 낸 문제들을 다음 달 한반도 비핵화·경제 에너지 지원 등 주제별 실무그룹 회의를 동시다발적으로 열어 협의하기로 했다.

힐 차관보는 "실무협의가 끝나는 8월 말까지는 불능화,신고,중유 지원 등의 시간표에 대해 확실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정부 당국자는 "8월은 매우 바빠질 것"이라며 "실무 협의에서 진전이 빠르면 6자 본회담도 8월 중 재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6개국은 비핵화 논의를 급진전시키기 위한 '촉매제'로서 6자 외무장관 회담을 여는 방안도 계속 추구하기로 합의했다.

힐 차관보는 "6자 외교장관 회담은 아마도 9월에 열릴 것 같다"고 말했다.

6개국은 9월 초 호주 시드니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전후해 6자 외교장관 회담을 여는 방안을 구상 중이다.

베이징=김홍열/정지영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