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20여명을 납치한 탈레반은 이슬람 학생조직으로 출발한 무장세력이다.

아프가니스탄 말로 '구도자'를 뜻하는 탈레반은 1994년 옛 소련군이 아프간에서 철수한 뒤 남부 칸다하르주(州)에서 물라 모하메드 오마르라는 젊은 수니파 신학자에 의해 조직됐다.

펜 대신 총을 든 근본주의 학생 2만5000명으로 출발해 군벌세력에 대항하면서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키웠고,마침내 1996년 아프간의 실질적인 통치세력으로 부상했다.

탈레반은 집권 과정에선 오랜 내전에 시달린 아프간 국민들의 지지를 받았으나 집권 이후 이슬람 율법인 샤리아를 앞세운 공포정치로 국제 사회의 비난을 받았다.

국제 사회에서 '왕따' 취급을 받던 탈레반 정권이 붕괴된 것은 2001년 9·11 테러가 직접적인 계기가 됐다.

당시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은 테러 배후로 아프간에 은신하고 있던 오사마 빈 라덴을 지목한 뒤 탈레반 정권에 신병 인도를 요구했다.

그러나 탈레반이 부시 대통령의 요구를 거부하자 미국은 영국과 함께 아프간 공습을 개시,두달 만에 탈레반을 권좌에서 축출하는데 성공했다.

이후 탈레반 지도자 오마르를 비롯한 잔당 세력은 미국의 추적을 피해 파키스탄 접경 파슈툰 부족 거주 산악지역에 은신하면서 권토중래를 노리고 있다.

서방 정보기관들에 따르면 탈레반은 미군과 나토군의 거듭된 공격에도 불구하고 아프간 남부와 동부에서 과거의 세력을 회복하는 등 어느 정도 재기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