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2Q 바닥은 지났지만-한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투자증권은 23일 삼성SDI의 2분기 실적이 바닥을 지났지만 탄력적인 상승을 나타내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중립' 투자의견을 유지했다.
그러나 계절적 요인으로 인한 수익성 개선 가능성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7만5000원으로 상향조정했다.
유종우 한국증권 애널리스트는 "삼성SDI의 2분기 매출액 1조1500억원, 영업손실 1374억원로, 1분기 대비 수익성이 악화됐다"며 "PDP 재고로 인한 손실과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출하량 감소 등 때문"이라고 밝혔다.
유 애널리스트는 "하반기로 접어들면서 PDP 출하량 증가와 4기 라인의 가동, 모바일 디스플레이 출하량 증가 등 디스플레이 산업의 성수기 효과로 삼성SDI의 수익성은 개선되는 흐름을 보여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하지만 CRT 사업의 구조조정 비용과 신규 생산 라인 가동으로 인한 감가상각비의 증가 등으로 강한 반등을 보이기는 힘들 것"이라며 "본격적인 실적 회복은 내년 상반기를 지나는 시점에 가시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경닷컴
그러나 계절적 요인으로 인한 수익성 개선 가능성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7만5000원으로 상향조정했다.
유종우 한국증권 애널리스트는 "삼성SDI의 2분기 매출액 1조1500억원, 영업손실 1374억원로, 1분기 대비 수익성이 악화됐다"며 "PDP 재고로 인한 손실과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출하량 감소 등 때문"이라고 밝혔다.
유 애널리스트는 "하반기로 접어들면서 PDP 출하량 증가와 4기 라인의 가동, 모바일 디스플레이 출하량 증가 등 디스플레이 산업의 성수기 효과로 삼성SDI의 수익성은 개선되는 흐름을 보여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하지만 CRT 사업의 구조조정 비용과 신규 생산 라인 가동으로 인한 감가상각비의 증가 등으로 강한 반등을 보이기는 힘들 것"이라며 "본격적인 실적 회복은 내년 상반기를 지나는 시점에 가시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경닷컴